10년간 식료품물가 42%↑, 전체물가의 2배…"취약계층 부담 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10년간 식료품물가 42%↑, 전체물가의 2배…"취약계층 부담 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4-02 06:01

본문

한경협, 10년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분석
10년간 식료품물가 42%↑, 전체물가의 2배…quot;취약계층 부담 高quot;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만두를 구매하는 시민들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최근 10년간 식료품의 물가 상승률이 전체 물가상승률의 2배를 기록, 저소득층의 체감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최근 10년간2014년~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이하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일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소득 5분위의 20.6%보다 2.6%포인트 높았다.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은 ▷1분위 23.2%,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5분위 20.6%였다.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도별로 분석할 경우, 최근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 중 2022년을 제외하고 1분위의 체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분위보다 매년 높았다. 한경협은 코로나 직전부터 저소득층인 1분위의 체감물가가 5분위보다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돼왔다고 설명했다.

소득 1분위는지출 비중이 ▷식료품·비주류음료20.9%, ▷ 주택·수도·광열20.0%, ▷ 보건12.6% 순으로, 생존과 직결된 영역에 집중돼 있었다.

10년간, 저소득층이 주로 소비하는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같은 기간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약 2배에 달했다. 한경협은 식료품 물가 상승이 저소득층의 체감물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반면, 소득 5분위는 ▷교통13.0%, ▷교육10.5%, ▷오락·문화9.0%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비교기간2014년 대비 2024년 기준 동안 해당 품목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5.3%, 10.6%, 9.2%로 전체 물가상승률21.2%을 크게 밑돌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인기기사 ]
“男연예인에 性 상납” 아나운서의 폭로…“업무 연장선상 성폭력” 인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17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51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