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담배 못 사네"…무인 편의점 넘쳐나더니 결국
페이지 정보

본문
"술·담배 못 팔아 매출 손해"
문 닫는 하이브리드 편의점
빅4 하이브리드 점포 3869곳
3년연속 늘다가 작년 처음 꺾여
팬데믹 끝나 심야 유동인구 늘자
술·담배 판매제한에 수익 악화
"신규 출점 우선순위서 밀려나"
문 닫는 하이브리드 편의점
빅4 하이브리드 점포 3869곳
3년연속 늘다가 작년 처음 꺾여
팬데믹 끝나 심야 유동인구 늘자
술·담배 판매제한에 수익 악화
"신규 출점 우선순위서 밀려나"

◇“술·담배 못 사네” 무인점포 감소세

하이브리드 점포를 공격적으로 늘려온 이마트24에서 폐점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이마트24의 하이브리드 점포는 2021년 1050개에서 2023년 2293개까지 늘었다가 지난해 136개 순감했다. 다른 업체들도 이렇다 할 성장세를 보이지 못했다. 지난해 세븐일레븐과 CU는 정체 상태에 빠졌고, GS25가 10여 개 늘었을 뿐이다.
하이브리드 점포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좋은 대안으로 떠올랐다. 적은 인건비로 24시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지가 애매한 상당수 편의점이 하이브리드로 전환했다. 하지만 팬데믹이 끝나고 심야 유동인구가 다시 늘어나자 술·담배 판매 제한이 발목을 잡았다.
통상 편의점 매출에서 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40% 내외로 주류까지 포함하면 절반을 넘어서는 경우도 많다. 일부 점포에는 신분증 확인 기능을 갖춘 담배·주류 자판기가 설치돼 있지만 아직은 소수에 불과하고 상당수는 매대를 열쇠로 잠가버린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점주 사이에 하이브리드 매장으로 바꿨더니 주변 편의점만 혜택을 본다는 이야기가 많이 돈다”고 했다.
◇사업 내실화에 우선순위 밀릴 듯
팬데믹 기간 하이브리드 점포가 크게 늘어난 배경에는 편의점업계의 외형 경쟁도 한몫했다. 하지만 편의점업계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외형 경쟁은 한풀 꺾였다. 연간 실적이 발표된 편의점 3개사CU, GS25, 이마트24의 작년 영업이익 합산액은 4164억원으로 전년도4485억원보다 7.1% 줄었다.
편의점업계는 점포를 늘리기는커녕 줄이고 있다. 이마트24는 비효율 점포를 정리해 2023년 말 6598개이던 점포가 작년 말 6130개까지 줄었다. 점포 수 1, 2위를 다투는 CU와 GS25도 신규 출점이 감소했다. CU의 작년 순증 점포 수는 696개에 불과했다. 2022년 932개, 2023년 975개에 비해 크게 줄었다. GS25 역시 지난해 순증 점포 수가 722개로 2023년 942개, 2022년 949개에서 감소했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점포가 적합한 상권은 반대로 말하면 지속적인 매출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곳이라는 의미”라며 “신규 출점 시 하이브리드 점포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배태웅/라현진 기자 btu104@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남편 돌보는 아내, 아내 냅두는 남편…배우자 돌봄 성별차 25.03.02
- 다음글[르포]"매대 채우기 무섭게 텅텅"…700원대 삼겹살 파격가에 품절 행렬 25.03.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