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로봇청소기 반격…"개인정보 안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韓 로봇청소기 반격…"개인정보 안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3-02 16:56

본문

한국 로봇청소기 시장을 장악한 중국 로보락을 겨냥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개인정보 보안 기능을 대폭 강화한 신제품으로 맞불을 놓는다. 로보락이 최근 신제품을 내놨지만 개인정보 유출을 비롯한 보안 이슈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이르면 이달 로봇청소기 신제품을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로봇청소기에 독자 보안 솔루션인 삼성 녹스를 적용해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기기 내 암호화하는 종단 간 암호화E2EE 기술도 적용한다.

연내 로봇청소기 신제품 출시를 목표로 제품 개발에 주력하는 LG전자도 지난해 8월 출시한 LG 로보킹 AI 올인원에 LG 표준 보안 개발 프로세스LG SDL를 적용해 보안 안전성을 확보했다.

중국 로봇청소기가 보안 이슈에 취약한 점을 정면으로 공략하고 나선 것이다.

로보락은 지난달 20일 2025 로보락 론칭쇼를 열고 이전 모델 대비 청소 기능과 내비게이션 시스템, 본체와 도크 기능을 전방위적으로 향상한 신제품 S9 맥스V를 선보였다. 로보락은 자사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인 스타사이트 자율 시스템 2.0을 적용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시장의 관심은 최신 모델보다 보안 문제에 쏠렸다. 특히 로보락이 중국 사물인터넷IoT 기업 항저우투야인포메이션테크놀로지에 한국 사용자 개인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고 적시해 논란이 됐다.

이에 로보락은 "로봇청소기가 자체적으로 수집하는 영상·오디오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으며 제삼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면서 "한국 법률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로보락은 삼성전자, LG전자를 비롯한 국내 기업을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로보락에 따르면 로보락의 한국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은 작년 하반기 기준 40%대 중반으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박승주 기자]

“아이 셋 보육원에 보낼 순 없어”…입대 회피 30대, 18개월 실형에 항소, 결과 보니

“13세 ‘트로트 신동’ 억대 수입이라더니”...4층 단독주택 공개

아들 ‘대마 던지기’ 미수 혐의…이철규 “자식 불미스러운 일 송구”

“美, 더는 동맹 아냐”…트럼프·젤렌스키 회담 파국, 유럽 자력갱생 속도 전망

“골절인데도 성관계 요구”…재혼 5년 만에 이혼 결정한 아내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94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09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