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민간 달탐사선 블루고스트 착륙 성공…시조 8편 달 안착종합
페이지 정보

본문
14일간 달 표면에서 10개 기기로 과학실험 수행

2025년 3월 2일미국 중부시간 민간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가 달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한 직후의 착륙 상황 중계 화면. [AP를 통해 배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사진. 크레딧 표시 필수. DB 및 재판매 금지] NASA/FIREFLY AEROSPACE: MANDATORY C...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한국 시조時調를 실은 미국 민간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이하 파이어플라이의 무인 달 탐사선 블루 고스트Blue Ghost가 한국 시간 2일 오후 5시 34분미국 중부시간 오전 2시 34분께 계획대로 달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착륙 상황은 현장으로부터 36만㎞ 떨어진 미국 텍사스 오스틴 근처 파이어플라이 관제센터를 거쳐 이 회사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트리밍 채널 등으로 전세계에 생중계됐다.
파이어플라이 최고경영자CEO 제이슨 김은 모든 것이 "시계장치처럼" 정확히 계획대로 이뤄졌다고 말했다.
착륙 지점은 달 앞면의 북동쪽 사분면에 있는 대형 분지 마레 크리시엄Mare Crisium·위난의 바다 내의 몬 라트레이유Mons Latreille라 불리는 고대 화산 지형 근처다.
블루 고스트는 착륙 후 약 30분만에 착륙 장소 근처 달 표면의 사진을 지구로 보내온 것을 시작으로 사진을 포함한 각종 관측·실험 데이터를 전송 중이다.
파이어플라이는 NASA와 함께 달 착륙선을 발사한 세 번째 민간기업이며, 이번에 달 착륙을 계획대로 수행함에 따라 역사상 두 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한 민간기업으로 기록됐다.
달 착륙에 최초로 성공한 민간 우주선은 미국의 다른 민간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IM의 노바-C 기종 오디세우스호로, 2024년 2월 22일 달 남극 인근 지점에 착륙했다.
다만 당시에는 착륙 막판에 다리가 하나 부러져 안정된 자세를 취하지 못하고 넘어지는 바람에 착륙이나 임무 수행이 완벽하게 계획대로 되지는 않았다.

2025년 3월 2일미국 중부시간 달 표면에 착륙한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가 착륙 직후에 보내온 사진. 블루 고스트의 선체 일부와 근처 달 표면이 찍혀 있다. [AP를 통해 배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와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사진. 크레딧 표시 필수. DB 및 재판매 금지]
민간기업이 아닌 정부기관까지 합해도 지금까지 달 표면에 우주선을 착륙시키는 데에 성공한 나라는 러시아옛 소련, 미국, 중국, 인도, 일본 등 5개국밖에 없다.
가로 3.5m, 세로 3.5m, 높이 2m인 블루 고스트 착륙선은 NASA의 과학실험을 위한 10개 장비를 탑재했으며, 약 14일간 작동하며 임무를 수행하다가 달의 밤을 맞으면 작동을 중단할 예정이다.
블루 고스트에는 달 표면 흙의 샘플을 채취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흡입하는 일종의 진공청소기, 표면으로부터 약 3m 아래까지 팔 수 있는 드릴, 달 먼지를 닦아내는 장비 등이 실려 있다.
달 표면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한편 일몰이 달의 암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데이터도 수집할 예정이다.
블루 고스트에는 또 예술 작품을 달로 보내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세계 창작자들이 만든 시집 폴라리스 트릴로지가 실렸는데, 여기에 한국의 시조 작품 8편도 포함됐다.
미국 AP통신에 따르면 NASA는 블루 고스트를 달로 보내는 데에 1억100만 달러1천480억원을 지불했으며, 이와 별도로 탑재된 측정·실험장비에 4천400만 달러640억원를 썼다.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IM은 또 2월 26일 자사의 두 번째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할 노바-C 기종 아테나호를 발사했으며, 3월 6일에 달 착륙을 다시 시도할 예정이다.
높이가 약 4m인 아테나의 착륙 목표 지점은 달의 남극으로부터 약 160㎞ 떨어진 지점이다.
NASA는 달 탐사선을 직접 개발하기보다 민간 업체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개발하는 방식이 더 저렴하고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보고 2018년부터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여러 업체들과 계약했다.
IM의 노바-C와 파이어플라이의 블루 고스트도 이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됐다.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블루 고스트는 1월 15일 미국 플로리다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돼 한 달 반 동안 지구와 달 궤도를 비행했다.
이 때 함께 실려 발사된 일본 기업 아이스페이스의 리질리언스Resilience는 시간이 좀 더 많이 걸리는 경로를 거쳐 약 3개월 후 달 착륙을 시도할 예정이다. 아이스페이스는 2023년 4월에 달 착륙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록히드 마틴 스페이스Lockheed Martin Space/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limhwasop@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해남 갯벌에 굴 따러 간 60대 부부 실종…남편 숨진채 발견
- ☞ 프라모델의 전설…김순환 아카데미과학 회장 별세
- ☞ 자녀 13명 머스크, 2주 만에 14번째 아이 소식
- ☞ 천연기념물 10년 제주흑돼지 "식당에서 먹어도 괜찮나요?"
- ☞ [샷!] "청바지 3천원"에도…지갑 안 열리네
- ☞ 尹 재판날 관광객 제로였던 헌재 앞 인도…업종별 희비교차
- ☞ "아저씨랑 아줌마가 싸워요"…112신고에 마약 투약 들통
- ☞ "술값 비싸다" 맥주병 깨며 소란 피운 60대 벌금 1천만원
- ☞ 상선 지시로 필로폰 배달·영양제 불법주사 간호사 실형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싹 없어졌다" 10층 올리다 올스톱…줄도산 우려에 비상 25.03.02
- 다음글韓 로봇청소기 반격…"개인정보 안전" 25.03.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