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물가…빵도 커피도 차도 맥주도, 부담 안 되는 게 없다
페이지 정보

본문
뚜레쥬르, 빵·케이크 110여종 5% 인상
커피 프랜차이즈도 잇따라 가격 올려
업계 “수입 단가 높아져 인상 불가피”
식품업체들이 고환율에 따른 원가 부담을 이유로 잇따라 제품 가격을 올리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부 감시 기능이 느슨해진 틈을 타 앞으로도 가격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일 식품·외식업계에 따르면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는 이달부터 빵과 케이크 110여종의 가격을 5%가량 올렸다. 이에 따라 데일리우유식빵은 3600원, 단팥빵은 1900원으로 100원씩 인상됐다. 부드러운 고구마라떼 케이크는 3만원에서 3만1000원으로 1000원 올랐다.
지난달에는 SPC그룹의 파리바게뜨와 던킨이 제품 가격을 약 6%씩 인상했고 삼립도 포켓몬빵과 보름달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씩 올렸다.
커피 가격도 줄줄이 오르고 있다. SPC 계열 던킨이 아메리카노를 3700원에서 3900원으로 인상한 데 이어 배스킨라빈스가 4일부터 아메리카노 가격을 400원 올린다. 네스프레소는 캡슐 커피 가격을 개당 최대 81원 인상했고 저가 커피 브랜드 더벤티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벤티 사이즈 가격을 200원 올린다. 스타벅스코리아와 할리스, 폴바셋은 지난 1월 가격을 인상했으며 파스쿠찌와 컴포즈커피는 지난달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아이스크림업체들도 가격 인상 대열에 뛰어들어 빙그레는 이달부터 더위사냥, 붕어싸만코 등 인기 아이스크림과 커피, 음료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씩 올렸다.
주류업체 중에서는 롯데아사히주류가 이달부터 맥주 가격을 최대 20% 인상했다. 편의점 기준 아사히 수퍼드라이 캔제품500㎖은 4900원으로 400원이 올랐고, 병제품640㎖은 5400원으로 900원이나 뛰었다. 웅진식품은 이달부터 하늘보리500㎖ 등 차음료 제품 가격을 10% 올렸고 자연은 시리즈와 초록매실500㎖ 제품 가격은 9.3% 인상했다.
정부는 가공식품과 외식 메뉴 가격 인상이 이어지자 물가안정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협조를 수차례 요청해왔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달 11일 식품사 17곳 대표·임원과 만나 “식품업계의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지만, 어려운 때를 다 같이 극복한다는 입장에서 생각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소비자단체들은 정부의 거듭되는 자제 요청에도 먹거리 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환율 상승 등의 이유로 너나할 것 없이 가격 인상 대열에 편승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식품업계는 커피, 코코아 등 수입 단가가 높아지고 있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식자재뿐 아니라 포장재 가격도 급등했고 에너지 비용, 물류비도 상승했다”면서 “솔직히 정부 눈치를 크게 볼 필요가 없는 요즘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단독]‘세컨드폰 통화’ 선관위 전 사무총장, 작년 국힘 예비후보로 경선 치렀다
· [단독]김영선에 욕설하고 보좌진 마음대로 해고···“명태균 공화국” 가능했던 이유는?
· “아저씨·아줌마가 싸워요” 신고에 들통…마약 투약 남녀 징역형
· 선거 앞두고 돼지머리에 돈 꽂은 이장…선거법위반 혐의로 벌금형
· [단독]의대 신입생에 “투쟁 같이 할 거지?” 압박 정황 확인한 대학들
· 감사원 “김세환 전 선관위 사무총장, 대선·지선 앞두고 선관위 ‘세컨드 폰’으로 정치인과 연락”
· 윤 대통령 파면 찬·반에 둘로 나뉜 3·1절 [현장 화보]
· [속보]‘편법대출·재산축소 신고 혐의’ 양문석 의원 1심서 당선무효형
· 친윤 핵심 의원 아들, 강남서 ‘던지기 수법’으로 마약 찾다 적발
· “주변화와 소외 탓…극우 청년과 우익 노인 부분적 세대 동맹”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커피 프랜차이즈도 잇따라 가격 올려
업계 “수입 단가 높아져 인상 불가피”
식품업체들이 고환율에 따른 원가 부담을 이유로 잇따라 제품 가격을 올리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부 감시 기능이 느슨해진 틈을 타 앞으로도 가격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일 식품·외식업계에 따르면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는 이달부터 빵과 케이크 110여종의 가격을 5%가량 올렸다. 이에 따라 데일리우유식빵은 3600원, 단팥빵은 1900원으로 100원씩 인상됐다. 부드러운 고구마라떼 케이크는 3만원에서 3만1000원으로 1000원 올랐다.
지난달에는 SPC그룹의 파리바게뜨와 던킨이 제품 가격을 약 6%씩 인상했고 삼립도 포켓몬빵과 보름달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씩 올렸다.

빵과 커피가격 줄줄이 인상한 SPC그룹
아이스크림업체들도 가격 인상 대열에 뛰어들어 빙그레는 이달부터 더위사냥, 붕어싸만코 등 인기 아이스크림과 커피, 음료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씩 올렸다.
주류업체 중에서는 롯데아사히주류가 이달부터 맥주 가격을 최대 20% 인상했다. 편의점 기준 아사히 수퍼드라이 캔제품500㎖은 4900원으로 400원이 올랐고, 병제품640㎖은 5400원으로 900원이나 뛰었다. 웅진식품은 이달부터 하늘보리500㎖ 등 차음료 제품 가격을 10% 올렸고 자연은 시리즈와 초록매실500㎖ 제품 가격은 9.3% 인상했다.

맥주가격 최대 20% 올린 롯데아사히주류
소비자단체들은 정부의 거듭되는 자제 요청에도 먹거리 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환율 상승 등의 이유로 너나할 것 없이 가격 인상 대열에 편승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식품업계는 커피, 코코아 등 수입 단가가 높아지고 있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식자재뿐 아니라 포장재 가격도 급등했고 에너지 비용, 물류비도 상승했다”면서 “솔직히 정부 눈치를 크게 볼 필요가 없는 요즘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역대 최대 실적에도 10%이상 가격 인상한 오리온
경향신문 주요뉴스
· [단독]‘세컨드폰 통화’ 선관위 전 사무총장, 작년 국힘 예비후보로 경선 치렀다
· [단독]김영선에 욕설하고 보좌진 마음대로 해고···“명태균 공화국” 가능했던 이유는?
· “아저씨·아줌마가 싸워요” 신고에 들통…마약 투약 남녀 징역형
· 선거 앞두고 돼지머리에 돈 꽂은 이장…선거법위반 혐의로 벌금형
· [단독]의대 신입생에 “투쟁 같이 할 거지?” 압박 정황 확인한 대학들
· 감사원 “김세환 전 선관위 사무총장, 대선·지선 앞두고 선관위 ‘세컨드 폰’으로 정치인과 연락”
· 윤 대통령 파면 찬·반에 둘로 나뉜 3·1절 [현장 화보]
· [속보]‘편법대출·재산축소 신고 혐의’ 양문석 의원 1심서 당선무효형
· 친윤 핵심 의원 아들, 강남서 ‘던지기 수법’으로 마약 찾다 적발
· “주변화와 소외 탓…극우 청년과 우익 노인 부분적 세대 동맹”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다이궁 손절 롯데면세점, 적자의 늪에서 탈출하나 25.03.02
- 다음글"먹고살기 힘들다"…식비 인플레, 5년 새 40% 뛰어 25.03.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