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대팰은 제2의 원베일리가 될까···서울시 "토허제 해제 부작용 없...
페이지 정보

본문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24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교통수단 통합브랜드 ‘GO SEOUL고 서울’을 소개하기 위해 연단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는 지난달 12일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지정돼 있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했다. 시장의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지난해 9월 이후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에 관망세를 보이던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움직였다. 매도인들은 부동산중개업소에 내놓은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많게는 5억원씩 올리기 시작했다. 서울 대치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에 한번 직전2021년 최고가 경신거래가 몰렸었기 때문에 지금은 관망세였는데 서울시의 발표 이후 매수문의는 정말 많이 왔었다”라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지난주 발표한 2월 넷째주 전국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서도 강남3구의 상승세는 뚜렷했다. 송파구는 전 주 대비 0.58% 상승했으며, 강남구0.38%, 서초구0.25%도 일제히 상승폭을 키웠다. 서울 평균 상승폭0.11%보다 최대 5배 이상 큰 수치다.
일각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로 그동안 억눌려왔던 잠·삼·대·청잠실, 삼성, 대치, 청담의 아파트값이 반포와 키맞추기를 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장에 기름을 부은 격이란 얘기다.
서울시는 전면으로 반박했다. 시는 최근 보도자료를 내고 “잠·삼·대·청 아파트 거래 분석 결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전 대비 거래량은 증가했으나, 평균 거래가격은 오히려 하락해 전반적인 가격급등 현상은 확인되지 않았다”라고 발표했다.
2일 서울시의 실거래기반 거래동향 분석자료를 살펴보면 토허제 해제 전 1월 30일~2월 12일 잠·삼·대·청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41건이었고, 해제 이후 2월 13~26일까지 거래량은 47건계약일 기준으로 다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거래된 아파트 평균 가격은 해제 전후 3.3㎡당 1억230만원에서 9751만5000원으로 되레 5%가량 하락했다. 서울시 발표대로라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오히려 거래 숨통은 트였고, 매매가격도 낮아진 셈이다.
서울시는 한국부동산원의 발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시는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조사는 실거래가격 외에 부동산중개업소의 의견, 매물정보, 시세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한 표본가격으로 실거래가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경. 네이버지도
시 “호가는 올렸는데 눈에 띄는 상승거래 없어”
시 역시 “토허제 해제로 시장과열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전체적인 가격 폭등현상은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일부 단지에서 호가가 3억~5억원 상승했지만 실제 거래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토허제 해제 전부터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돼 있었고, 강남3구에 진입할 수 있는 가격 자체가 하나의 ‘허들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어 해제에 따른 급격한 가격상승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고 전망했다. 주택시장에서 토허제가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규제는 ‘2년 실거주 의무’다.
박원갑 KB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종전에는 거주목적의 수요만 집을 살 수 있었으나 이제는 전세를 끼고 사는 갭투자가 가능해졌으니 아파트 거래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남3구는 토허제 지정 이후에도 가격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만큼 해제가 돼도 큰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상승거래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전세가율’도 원인으로 꼽힌다. 전세가율이란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보증금의 비율을 뜻한다. 강남구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지난해 기준 42.7%로, 서울 평균53.9%보다도 낮다. 송파구46.5%, 서초구47.2%도 낮은 편이다. 전세가율이 높을 수록 매수자가 부담하는 자금은 줄어든다. 강남의 전용 84㎡ 아파트 한 채30억원를 갭투자로 구입하려면 적어도 18억원을 자기 자금으로 갖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다만 토허제 해제에 따른 강남3구 아파트값 상승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았던 서초구 반포동의 대장 아파트와의 키맞추기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의 전용 85㎡의 직전 최고가는 60억원, 직전 거래가는 55억원에 달한다.
류인하 기자 acha@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단독]‘세컨드폰 통화’ 선관위 전 사무총장, 작년 국힘 예비후보로 경선 치렀다
· [단독]김영선에 욕설하고 보좌진 마음대로 해고···“명태균 공화국” 가능했던 이유는?
· “아저씨·아줌마가 싸워요” 신고에 들통…마약 투약 남녀 징역형
· 선거 앞두고 돼지머리에 돈 꽂은 이장…선거법위반 혐의로 벌금형
· [단독]의대 신입생에 “투쟁 같이 할 거지?” 압박 정황 확인한 대학들
· 감사원 “김세환 전 선관위 사무총장, 대선·지선 앞두고 선관위 ‘세컨드 폰’으로 정치인과 연락”
· 윤 대통령 파면 찬·반에 둘로 나뉜 3·1절 [현장 화보]
· [속보]‘편법대출·재산축소 신고 혐의’ 양문석 의원 1심서 당선무효형
· 친윤 핵심 의원 아들, 강남서 ‘던지기 수법’으로 마약 찾다 적발
· “주변화와 소외 탓…극우 청년과 우익 노인 부분적 세대 동맹”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인천공항 "항공기 탑승 때 보조배터리 비닐백에 넣어 주세요" 25.03.02
- 다음글강원농협, 삼겹살데이 앞두고 한돈 소비 촉진 캠페인 25.03.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