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살기 힘들다"…식비 인플레, 5년 새 40% 뛰어
페이지 정보

본문
25% 안팎 소득 2~5분위보다 1분위 식비 부담 더 커
[파이낸셜뉴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식비 부담이 최근 5년 새 40%까지 뛴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2~5분위상위 ~80% 가구의 식비가 평균 25% 안팎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서민 가구의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보인다.
2일 통계청의 가계 동향 조사연간 지출에 따르면 지난해 1분위 가구가 식비로 쓴 금액은 월평균 43만4000원이었다.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에 27만4000원, 외식 등 식사비에 16만원을 썼다.
1분위 가구 식비는 2019년 31만300원에서 2020년 34만2000원으로 올랐고 2021년 37만6000원, 2022년 39만9000원, 2023년 40만6000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2019년과 비교했을 때 1분위 식비는 5년 만에 12만1000원38.6%이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2분위 가구는 12만3000원25.3%, 3분위는 14만6000원22.1%, 4분위는 20만5000원24.7%이다.
최근 먹거리 물가의 폭등세는 이상 기후, 지정학적 갈등에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까지 겹치면서 나타났다. 그리드플레이션은 기업의 과도한 이윤 추구로 인한 원가 상승분 이상으로 가격이 인상되는 걸 말한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지수 역시 2019년 95.8에서 지난해 122.9로 28.3% 오르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 지수 상승률인 14.8%를 크게 웃돌았다. 외식 등 음식 서비스 물가 지수도 같은 기간 99.2이던 것에서 121로 22% 급상승했다.
이 같은 흐름에 직격탄을 맞은 건 처분 가능 소득이 적은 1분위 가구였다.
실제로 저소득층일수록 처분 가능 소득 대비 식비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 처분 가능 소득은 분기 단위로 집계되는데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구의 처분 가능 소득은 월 103만7000원이었다. 이 중 46만6000원45%을 식비에 썼다.
2분위 가구는 246만7000원인 처분 가능 소득 대비 식비62만9000원 비중이 25.5%로 하락했다. 3분위는 23.7%351만5000원 대비 83만2000원, 4분위는 20.6%510만4000원 대비 105만1000원, 5분위는 14.9%891만2000원 대비 133만2000원다.
#인플레이션 #식비 #1분위 소득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김건모, 성폭행 의혹에 이혼도 했는데..." 반전 결과
→ 성인물 중독 남편, 아내와 성관계 중 몰래...소름
→ 결혼 12일 만에 파경 배우 이민영, 혼인신고를.. 사연
→ 전재산 탕진하고 파산했던 개그맨, 10살 연하 간호사와..
→ "지드래곤이 준 샤넬가방이 짝퉁, 개망신당했다" 고백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파이낸셜뉴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식비 부담이 최근 5년 새 40%까지 뛴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2~5분위상위 ~80% 가구의 식비가 평균 25% 안팎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서민 가구의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보인다.
2일 통계청의 가계 동향 조사연간 지출에 따르면 지난해 1분위 가구가 식비로 쓴 금액은 월평균 43만4000원이었다.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에 27만4000원, 외식 등 식사비에 16만원을 썼다.
1분위 가구 식비는 2019년 31만300원에서 2020년 34만2000원으로 올랐고 2021년 37만6000원, 2022년 39만9000원, 2023년 40만6000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2019년과 비교했을 때 1분위 식비는 5년 만에 12만1000원38.6%이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2분위 가구는 12만3000원25.3%, 3분위는 14만6000원22.1%, 4분위는 20만5000원24.7%이다.
최근 먹거리 물가의 폭등세는 이상 기후, 지정학적 갈등에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까지 겹치면서 나타났다. 그리드플레이션은 기업의 과도한 이윤 추구로 인한 원가 상승분 이상으로 가격이 인상되는 걸 말한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지수 역시 2019년 95.8에서 지난해 122.9로 28.3% 오르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 지수 상승률인 14.8%를 크게 웃돌았다. 외식 등 음식 서비스 물가 지수도 같은 기간 99.2이던 것에서 121로 22% 급상승했다.
이 같은 흐름에 직격탄을 맞은 건 처분 가능 소득이 적은 1분위 가구였다.
실제로 저소득층일수록 처분 가능 소득 대비 식비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 처분 가능 소득은 분기 단위로 집계되는데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구의 처분 가능 소득은 월 103만7000원이었다. 이 중 46만6000원45%을 식비에 썼다.
2분위 가구는 246만7000원인 처분 가능 소득 대비 식비62만9000원 비중이 25.5%로 하락했다. 3분위는 23.7%351만5000원 대비 83만2000원, 4분위는 20.6%510만4000원 대비 105만1000원, 5분위는 14.9%891만2000원 대비 133만2000원다.
#인플레이션 #식비 #1분위 소득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김건모, 성폭행 의혹에 이혼도 했는데..." 반전 결과
→ 성인물 중독 남편, 아내와 성관계 중 몰래...소름
→ 결혼 12일 만에 파경 배우 이민영, 혼인신고를.. 사연
→ 전재산 탕진하고 파산했던 개그맨, 10살 연하 간호사와..
→ "지드래곤이 준 샤넬가방이 짝퉁, 개망신당했다" 고백
관련링크
- 이전글고삐 풀린 물가…빵도 커피도 차도 맥주도, 부담 안 되는 게 없다 25.03.02
- 다음글프라모델의 전설…김순환 아카데미과학 회장 별세 25.03.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