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25 대박에도 못 웃는 삼성전자, 왜?
페이지 정보

본문
갤럭시 S25 시리즈가 역대 최단기간 100만대 국내 판매를 기록했지만, 삼성전자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갤럭시 S25 시리즈에 해외 기업의 부품이 대거 채택되면서 수익률 하락은 물론 장기적으로 삼성전자 부품의 글로벌 경쟁력 저하까지 우려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지난 7일 정식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의 시장 반응은 뜨겁다. 국내 출시 21일 만에 판매량이 100만대를 돌파해 역대 갤럭시 시리즈 중 최단기간 신기록을 세웠다. 해외서도 호평이다. 3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 S25 울트라는 유럽 5개국의 소비자연맹지에서 최고의 스마트폰으로 선정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S25 시리즈가 훈풍을 탈수록 삼성의 위기설이 조명되고 있다. 과거 작은 부품 하나까지도 자사의 제품을 우선적으로 채택했던 것과 달리 S25 시리즈에는 외산 부품이 대거 채택됐기 때문이다.
특히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퀄컴미국의 ‘스냅드래곤8 엘리트’가 전량 탑재됐다. 그간 갤럭시 S 시리즈에는 자사 AP칩인 엑시노스Exynos와 퀄컴의 스냅드래곤이 병행 탑재됐다. 당초 자사 반도체 사업부가 개발한 ‘엑시노스 2500’을 탑재할 계획이었으나 성능 및 수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무산됐다.
여기에 S25 시리즈에는 메모리마저 자사가 아닌 마이크론의 모바일 D램이 우선 공급됐다.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는 S25 시리즈의 저전력 D램LPDDR5 1차 공급사로 미국 마이크론을 선택했다. 그간 마이크론은 2차 공급사로 삼성에 메모리를 납품해왔는데 처음으로 1차 공급사로 지위가 올라갔다. 노태문 삼성전자 MX 사업부장사장은 “공급망 안정성을 위한 것일 뿐 삼성전자는 여전히 갤럭시 S25에 들어가는 D램 공급 1차 공급사”라고 강조했지만 부동의 1위였던 D램마저 경쟁력을 잃은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결국 스마트폰의 핵심 부품 공급을 경쟁사에 넘긴 격이라 삼성전자는 당장 수익성 하락을 고민해야 할 처지다. 특히 스마트폰 원가에서 AP가 차지하는 비중은 2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갤럭시 S25 시리즈에 탑재된 퀄컴의 스냅드래곤8 엘리트는 이전 세대 AP보다 가격이 20~30% 더 오른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이 이번 신제품 단말기 가격을 인상하지 않은 걸 고려하면 이윤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AP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은 5%로 미디어텍26%, 퀄컴26%, 애플18%에 이어 5위다.
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풍선처럼 빵 터져 급사"…뱃살 속 시한폭탄 정체
▶ 여친 강요에 모의 출산 체험한 男 끔찍한 결말
▶ 22년전 기습 입맞춤 당한 女배우의 보복 키스 발칵
▶ 女 10명 성폭행…김해 뒤집은 공포의 목사 결국
▶ 안성재 미슐랭 3스타 돌아온다…저녁 코스 가격은?
▶ 日 투명 화장실처럼?…한강 화장실도 확 바꾼다
▶ 개·고양이, 교량참사 느꼈나…CCTV 보니 깜짝
▶ 美SNL 잔인한 풍자 "젤렌스키, 푸틴에 아내 바쳐라"
▶ 이 구역 미친년 됐다…딸들의 24시간 전쟁, 왜
▶ 한가인·백지영도 보냈다…요즘 뜨는 그 학교 비밀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림 yi.woolim@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우리도 서울 살까?"…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서울 집값 들썩 25.03.04
- 다음글다올증권 "코스메카코리아, 4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목표가↓" 25.03.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