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또 제쳤다"…韓 1인당 국민소득 세계 6위
페이지 정보

본문
- 작년 1인당 국민총소득, 1.2% 성장하며 3만 6624달러
- 원화절하 영향으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으나
- 미국·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 이은 주요국 6위
- 한국·일본·대만 통화 절하율 각 4.3%, 7.4%, 3.0%
- 원화절하 영향으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으나
- 미국·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 이은 주요국 6위
- 한국·일본·대만 통화 절하율 각 4.3%, 7.4%, 3.0%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작년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대 성장하며 3만 6000달러대를 유지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절하으로 달러 환산 기준 성장률이 원화 기준보다 낮은 영향을 받았으나, 작년에 이어 일본과 대만 수준을 뛰어넘었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작년 1인당 GNI는 미 달러화 기준으로 3만 6624달러를 기록했다. 1년 전3만 6194달러보다 1.2% 증가한 것이다.
1인당 GNI는 달러화 기준으로 2014년 처음으로 3만달러를 돌파한 이후 11년째 3만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2021년 3만 7898달러까지 오른 이후 정체기다. 지난해 경우 원화절하 영향으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GNI 규모는 주요국 내 6위권이다. 작년에 이어 일본과 대만 수준을 뛰어넘었다.
강창구 한은 국민소득부장은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만 비교하면 우리나라보다 1인당 GNI 규모가 큰 나라는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라며 “아직 이탈리아의 1인당 GNI 발표 자료가 없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를 보면 3만 8500달러 부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강 부장은 “대만은 지난해 3만 5188달러를 기록했고, 일본은 3만 4500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계산된다”고 말했다.
다만 달러 기준 1인당 GNI에 영향을 미치는 각국 통화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한국·일본·대만 통화원·엔·대만달러의 지난해 절하율가치하락률은 각 4.3%, 7.4%, 3.0%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IMF에서는 우리나라가 2027년이면 국민소득이 4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강 부장은 “4만달러 달성 시기와 관련해 명목 GNI 증가율은 계속 증가 흐름”이라면서 “다만 IMF 외환위기나 코로나 같은 위기 상황인 경우가 있고, 환율로 변환했을 때 미 달러화 기준 변동 폭이 커 향후 상황은 조금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
☞ 트럼프 한국 관세, 미국에 4배 주장…반도체법 폐기도상보
☞ 트럼프 젤렌스키, 광물협정 서명 준비 됐다고 서신 보내
☞ 트럼프에 버럭…고함 친 민주당 의원 결국 쫓겨나
☞ ‘13월의 월급, 18일에 통장으로 ‘쏙…열흘이상 앞당겨 받는다
☞ 곽재선 회장 무쏘EV, 직접 진두지휘한 첫 차…감회 남달라
|
1인당 GNI는 달러화 기준으로 2014년 처음으로 3만달러를 돌파한 이후 11년째 3만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2021년 3만 7898달러까지 오른 이후 정체기다. 지난해 경우 원화절하 영향으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GNI 규모는 주요국 내 6위권이다. 작년에 이어 일본과 대만 수준을 뛰어넘었다.
강창구 한은 국민소득부장은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만 비교하면 우리나라보다 1인당 GNI 규모가 큰 나라는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라며 “아직 이탈리아의 1인당 GNI 발표 자료가 없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를 보면 3만 8500달러 부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강 부장은 “대만은 지난해 3만 5188달러를 기록했고, 일본은 3만 4500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계산된다”고 말했다.
다만 달러 기준 1인당 GNI에 영향을 미치는 각국 통화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한국·일본·대만 통화원·엔·대만달러의 지난해 절하율가치하락률은 각 4.3%, 7.4%, 3.0%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IMF에서는 우리나라가 2027년이면 국민소득이 4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강 부장은 “4만달러 달성 시기와 관련해 명목 GNI 증가율은 계속 증가 흐름”이라면서 “다만 IMF 외환위기나 코로나 같은 위기 상황인 경우가 있고, 환율로 변환했을 때 미 달러화 기준 변동 폭이 커 향후 상황은 조금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
☞ 트럼프 한국 관세, 미국에 4배 주장…반도체법 폐기도상보
☞ 트럼프 젤렌스키, 광물협정 서명 준비 됐다고 서신 보내
☞ 트럼프에 버럭…고함 친 민주당 의원 결국 쫓겨나
☞ ‘13월의 월급, 18일에 통장으로 ‘쏙…열흘이상 앞당겨 받는다
☞ 곽재선 회장 무쏘EV, 직접 진두지휘한 첫 차…감회 남달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月 10만원씩 모으면 2배로 돌려받는다"…1만명 우르르 25.03.05
- 다음글HS효성 브랜드 알리자…글로벌 전시회 참여 25.03.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