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넘어선 서울 아파트값…강남 아파트가 끌어올려
페이지 정보

본문
1월 평균 13억8289만원… 선호 주거지가 끌어올려
용산 가장 높은 상승률 111%… 서초·강남도 인상 커
[파이낸셜뉴스] 지난 1월 서울 전체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격을 끌어올린 건 강남권 집값이었다. 시장은 토지거래허가제가 풀리고 금리 인하 기조로 집값이 더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부동산R114가 2일 공개한 서울 25개 자치구 아파트 155만가구임대 제외의 평균 가격을 조사해 공개했다. 호가와 시세, 지역별 평균 등을 반영해 산정한 서울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지난 1월 기준 13억8289만원으로 집계됐다.
최고점을 찍었던 2022년 5월 13억7532만원을 뛰어넘는 역대 최고치다. 특히 서울 시내 선호 주거지는 집값 회복세는 물론 이전 최고가를 넘어섰다.
구별로 보면 용산구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1억9880만원으로 2022년 8월 이전 최고가를 작성한 19억8280만원보다 무려 110.98%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초구 역시 29억9516만원으로 2022년 8월의 전고점 대비 109.23% 상승률을 보였다.
강남구는 28억3333만원2022년 7월, 108.86%으로 이전 최고가를 뛰어넘었다. 성동구와 영등포구도 각각 15억4667만원2022년 8월, 105.59%, 13억5790만원2022년 7월, 102.02%을 기록했다.
광진구도 14억9826만원99.13%을 보였고 송파구 19억6922만원99.09%, 양천구 13억6156만원98.58%, 마포구 13억9678만원98.09% 등도 전고점 수준까지 근접했다.
지역에 따라 더딘 회복세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중랑구89.37%, 중구89.28%, 구로구89.06%, 성북구88.34%, 금천구87.66%, 관악구86.41%, 노원구85.06%, 강북구84.23%, 도봉구82.49% 등은 집값 상승세가 주춤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위원은 "서울 아파트 가격은 2021~2022년 급등하다가 2년 정도 숨 고르기를 하며 조정 받은 후 지난해부터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다"며 "가격이 회복된 지역을 보면 소위 말하는 1급지 위주"라고 전했다.
이어 "1급지가 전체 평균가 상승을 이끌면서 서울 집값이 모두 회복됐다"고 덧붙였다.
부동산R114는 토지거래허가 제한이 풀리고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강남권 등 서울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올해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강남 #용산 #서울 아파트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김건모, 성폭행 의혹에 이혼도 했는데..." 반전 결과
→ 성인물 중독 남편, 아내와 성관계 중 몰래...소름
→ 결혼 12일 만에 파경 배우 이민영, 혼인신고를.. 사연
→ 전재산 탕진하고 파산했던 개그맨, 10살 연하 간호사와..
→ "지드래곤이 준 샤넬가방이 짝퉁, 개망신당했다" 고백
용산 가장 높은 상승률 111%… 서초·강남도 인상 커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파이낸셜뉴스] 지난 1월 서울 전체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격을 끌어올린 건 강남권 집값이었다. 시장은 토지거래허가제가 풀리고 금리 인하 기조로 집값이 더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부동산R114가 2일 공개한 서울 25개 자치구 아파트 155만가구임대 제외의 평균 가격을 조사해 공개했다. 호가와 시세, 지역별 평균 등을 반영해 산정한 서울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지난 1월 기준 13억8289만원으로 집계됐다.
최고점을 찍었던 2022년 5월 13억7532만원을 뛰어넘는 역대 최고치다. 특히 서울 시내 선호 주거지는 집값 회복세는 물론 이전 최고가를 넘어섰다.
구별로 보면 용산구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1억9880만원으로 2022년 8월 이전 최고가를 작성한 19억8280만원보다 무려 110.98%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초구 역시 29억9516만원으로 2022년 8월의 전고점 대비 109.23% 상승률을 보였다.
강남구는 28억3333만원2022년 7월, 108.86%으로 이전 최고가를 뛰어넘었다. 성동구와 영등포구도 각각 15억4667만원2022년 8월, 105.59%, 13억5790만원2022년 7월, 102.02%을 기록했다.
광진구도 14억9826만원99.13%을 보였고 송파구 19억6922만원99.09%, 양천구 13억6156만원98.58%, 마포구 13억9678만원98.09% 등도 전고점 수준까지 근접했다.
지역에 따라 더딘 회복세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중랑구89.37%, 중구89.28%, 구로구89.06%, 성북구88.34%, 금천구87.66%, 관악구86.41%, 노원구85.06%, 강북구84.23%, 도봉구82.49% 등은 집값 상승세가 주춤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위원은 "서울 아파트 가격은 2021~2022년 급등하다가 2년 정도 숨 고르기를 하며 조정 받은 후 지난해부터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다"며 "가격이 회복된 지역을 보면 소위 말하는 1급지 위주"라고 전했다.
이어 "1급지가 전체 평균가 상승을 이끌면서 서울 집값이 모두 회복됐다"고 덧붙였다.
부동산R114는 토지거래허가 제한이 풀리고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강남권 등 서울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올해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강남 #용산 #서울 아파트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김건모, 성폭행 의혹에 이혼도 했는데..." 반전 결과
→ 성인물 중독 남편, 아내와 성관계 중 몰래...소름
→ 결혼 12일 만에 파경 배우 이민영, 혼인신고를.. 사연
→ 전재산 탕진하고 파산했던 개그맨, 10살 연하 간호사와..
→ "지드래곤이 준 샤넬가방이 짝퉁, 개망신당했다" 고백
관련링크
- 이전글봄 이사철, 도배·장판 교체 책임은 누구에게…전·월세 따라 차이 25.03.02
- 다음글MWC25 SK텔레콤 부스 소개하는 모델들 25.03.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