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억 인도에 힘주는 삼성·LG전자…실적도 고공행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14억 인도에 힘주는 삼성·LG전자…실적도 고공행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3-02 07:01

본문

삼성 인도법인, 2년 만에 순이익 3배↑…프리미엄 제품 선전
최고 경영진들 잇달아 사업장 방문…LG전자 인도 IPO 순항

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삼성전자와 LG전자가 14억 인구 인도에서 꾸준한 실적 성장을 이어 가고 있다. 양사는 막강한 내수 잠재력과 핵심 인력풀에 주목해 현지 사업 확장에 고삐를 죈다는 계획이다.

14억 인도에 힘주는 삼성·LG전자…실적도 고공행진갤럭시 S24 시리즈 체험하는 인도 관람객들
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모바일 AI의 시대를 여는 갤럭시 S24 시리즈를 전 세계 주요 국가에서 오는 31일부터 출시한다. 사진은 지난 29일 인도 구루가온의 갤러리아 마켓에 위치한 삼성스토어에서 현지 소비자들이 갤럭시 S24 시리즈를 체험하는 모습. 2024.1.30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2일 삼성전자가 공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 인도법인은 지난해 매출 17조490억원, 순이익 1조4천8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매출, 순이익이 각각 12%, 22% 증가한 수치다.

2022년 순이익5천85억원과 비교하면 작년 순이익은 2년 만에 3배 가까이 상승했다.

이처럼 인도법인의 수익성이 급증한 것은 인도에 20∼30대 고객이 많고 중산층이 늘고 있는 데다 스마트폰, 가전 시장에서 프리미엄 제품 수요가 빠르게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은 1억5천300만대에 육박했으며, 매출액은 프리미엄 제품50만원 이상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9%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1, 2위와 1∼3%포인트 차이로 3위를 기록했지만, 이는 저가 제품 출하량이 줄어든 영향일 뿐 오히려 갤럭시 S 시리즈 같은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한 브랜드 점유율은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또 삼성전자는 작년 1분기 인도 TV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40% 성장하며 시장점유율 16%로 1위를 차지했다.

PYH2024073018800000300_P2.jpg인도 노이다 공장 둘러보는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서울=연합뉴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이 30일 인도 노이다에 있는 삼성전자 공장을 방문해 둘러보고 있다. 2024.7.30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업계에선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보급률이 낮은 인도가 14억 이상의 인구를 바탕으로 한 내수 잠재력이 크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어 가전 시장 규모가 점차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코트라KOTRA는 2019년 110억 달러약 15조8천억원 규모였던 인도 가전 시장은 올해 210억 달러약 30조1천6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탄탄한 내수로 인한 시장 성장성은 물론 풍부한 노동력과 유능한 엔지니어들이 많다는 점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도 시장에 공을 들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제품 현지화 및 고객 접점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1995년 인도에 처음 진출한 삼성전자는 현재 수도 뉴델리 인근 노이다와 스리페룸부두르에서 생산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이 중 노이다 공장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냉장고 등을 생산 중이다.

또 연구개발Ramp;D센터, 삼성반도체인도연구소SSIR, 디자인센터 등도 운영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약 1만8천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아울러 인도식 유제품 커드curd 제조와 보존이 가능한 기능 등을 갖춘 냉장고도 선보이고 있으며, 지난해 1월에는 인도 뭄바이에 처음으로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BKC가 문을 열었다.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은 작년 3월과 7월 인도를 찾아 "인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로, 삼성에 큰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PYH2025010905060001300_P2.jpg기자간담회서 발언하는 조주완 LG전자 CEO
서울=연합뉴스 조주완 LG전자 CEO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2025.1.9 [LG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LG전자 인도법인 매출액 역시 2018년 2조4천703억원에서 2023년 3조3천9억원으로 5년새 33.6% 늘었다. 지난해 매출은 3조7천910억원이었으며 3천318억원의 순이익도 달성하는 등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인도 노이다 공장에서 냉장고·세탁기·에어컨·오븐·정수기를, 푸네 공장에서는 냉장고·세탁기·에어컨·TV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LG전자는 공장 증설과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며 인도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사는 노이다, 푸네 등에 이어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에 2026년 말 가동을 목표로 세 번째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며, 이 공장을 생활가전의 종합 생산기지로 발돋움시킨다는 계획이다.

지난 설 연휴 전후로는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LG전자 최고 경영진들은 잇달아 인도 사업장과 연구시설을 점검하기도 했다.

IPO 작업도 순항 중이다. 블룸버그 통신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인도 증시에서 IPO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LG전자는 최근 투자 설명회를 시작했다.

LG전자는 이번 IPO를 통해 인도법인의 기업 가치를 150억 달러약 21조6천억원 정도로 평가받고 10억∼15억 달러약 1조4천억∼2조1천억원를 조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 CEO는 지난 1월 CES 2025에서 인도법인 IPO와 관련해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하는 것"이라며 "인도에서 정말 사랑받는 국민 브랜드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burning@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원조 펑크록 뉴욕돌스 보컬 데이비드 조핸슨 별세
상가에 주차했더니 바퀴에 자물쇠…"풀려면 10만원 입금"
이철규 "자식 불미스러운 일 송구…수사 성실히 임하도록 조치"
명배우 해크먼 사후 9일간 방치 가능성…재산 1천억원대 추정
북한 관광 다녀온 영국 유튜버 "화장실도 가이드에 말하고 가야"
"아저씨랑 아줌마가 싸워요"…112신고에 마약 투약 들통
주택가서 음란행위 하던 남성, CCTV 관제요원에 걸려 검거
러 "트럼프·밴스, 젤렌스키 때리지 않은 게 기적"
영국 프로골퍼, 하루 홀인원 2회…확률은 6천700만분의 1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96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09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