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로봇 물 들어온다…삼성-LG, 사업 고도화 속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AI 로봇 물 들어온다…삼성-LG, 사업 고도화 속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6회 작성일 24-05-19 15:20

본문

뉴스 기사
삼성전자 AI 반려로봇 볼리.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AI 반려로봇 볼리. 삼성전자 제공


LG전자 스마트홈 AI 에이전트. LG전자 제공
LG전자 스마트홈 AI 에이전트. LG전자 제공

[파이낸셜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지능형 로봇 시장이 폭발적 성장을 예고하면서 가전 맞수인 삼성과 LG가 로봇 사업 고도화에 부쩍 속도를 내고 있다.

19일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AI 로봇 시장 규모는 2023년 143억달러약 19조4000억원에서 2032년 824억7000만달러로 연평균 21.5%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서비스 로봇 부문의 연평균 성장률은 21.6%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국내 AI 로봇 시장을 주도하는 삼성과 LG도 성장세에 맞춰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오는 6월 27일 열리는 구글 클라우드 서밋에서 구글의 생성형 AI 모델 제미나이를 접목한 서비스 로봇 클로이를 선보인다.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한 클로이 신형은 사람과 더 정교한 소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의 가사생활도우미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도 내년 국내 출시가 예상된다. 이 로봇은 생성형 AI를 접목해 사람의 목소리나 표정으로 감정을 파악하고, 대화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센서를 탑재해 집안 곳곳의 실시간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며, 가전 제어 기능도 수행한다.

삼성전자도 AI 반려로봇 볼리를 연내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삼성전자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산하 로봇사업팀을 해체하고, 해당 연구개발Ramp;D 인력을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으로 배치하는 등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 봇핏 관련 사업도 기업간거래B2B로 시작해 기업·소비자거래B2C로 확장할 계획이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박하선 " ♥류수영, 이혼숙려캠프 후 다정하게 대했더니.."
"사업 망해 의사 아버지께 손 벌리자.." 김원준 오열
미투 오달수 "6년 만에 이혼한 아내, 나보다 유명…연락은"
주차장 노숙하는 이혼 女배우 이유 묻자 "집도 없고…"
수의 대신 그 한복 입고 떠난 故 김자옥…"얼마 드릴까" 묻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62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20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