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개발硏, 소화기계 스텐트용 메디컬 섬유 세계 첫 개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섬유개발硏, 소화기계 스텐트용 메디컬 섬유 세계 첫 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1회 작성일 24-04-22 17:55

본문

뉴스 기사
생체내 스텐트 분해 기간 제어
플라스틱·금속 소재 단점 극복

섬유개발硏, 소화기계 스텐트용 메디컬 섬유 세계 첫 개발

한국섬유개발연구원원장 호요승은 신체에서 생체 분해되면서 지속적으로 약물 방출이 가능한 소화기계 스텐트용 메디컬 섬유사진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섬유개발연구원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소화기계 스텐트용 메디컬 섬유는 이중층의 구조로 설계됐다. 중심부에는 생체 분해 기간이 오래 유지되는 물질을, 바깥쪽 면에는 생체 분해 기간이 짧은 물질을 적용해 생체 내에서 스텐트가 분해되는 기간을 제어할 수 있다.

기존의 플라스틱 소재 스텐트는 구경이 작아 빨리 막히는 단점이 있었고, 금속사 소재 스텐트는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지만 추가 시술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 때문에 10여 년 전부터 생체 분해 스텐트 개발을 시도해 왔으나 소화기계 협착을 방지하기 위한 성능이 미흡하거나 스텐트의 형태가 빠르게 변형돼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상용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섬유개발연구원 관계자는 “소화기계 스텐트의 난제였던 생체 분해 기간 제어 및 다중층 약물 담지 기술 개발로 오랫동안 약물을 방출하며 효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차의과대 분당차병원원장 윤상욱의 권창일 소화기내과 교수, 손준식 섬유개발연구원 융복합기술개발본부장, 정윤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규석 엠아이텍 수석연구원이 참가했다.

호요승 섬유개발연구원장은 “섬유 소재 기술이 첨단 의료헬스케어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며 “개발된 메디컬 섬유는 소화기계 스텐트뿐 아니라 인체 적용 부위에 따라 주름 개선용 섬유 등으로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재료 분야 저명 국제저널 중 하나인 ‘액타 바이오머터리얼리아’ 4월호에 발표됐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59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3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