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GDP 대비 정부부채, 2029년엔 60% 육박할 것"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IMF "한국 GDP 대비 정부부채, 2029년엔 60% 육박할 것"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4-04-18 06:37

본문

뉴스 기사


국제통화기금IMF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21년에 이미 50%를 처음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9년에는 6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7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에서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을 포함한 경제 선진 37개국의 2015년∼2029년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국가채무비영리공공기관 부채 등을 자체 추정했다.


IMF는 2023년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을 55.2%로 집계했다. 전년 대비 1.4% 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일본252.4%과 이탈리아137.3%, 미국122.1%, 프랑스110.6%, 캐나다107.1%, 영국101.1%, 독일64.3% 등 주요 7개국G7보다는 낮은 수치다.

2023년 G7과 주요 20개국G20의 평균 국가부채 비율은 각각 126.1%와 121.1%로 추정됐다.

IMF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2015년 40.8%였으나, 2019년 42.1%에서 코로나19 때인 2020년 48.7%로 급등했다. 이어 2021년에는 51.3%를 기록하며 처음 50%를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IMF는 올해의 경우 한국의 정부 부채가 GDP 대비 56.6%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후 상승세가 이어져 2029년에는 59.4%에 이르러 60%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1일 2023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에서 지난해 국가채무D1의 GDP 대비 비율이 50.4%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 50%를 넘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국가채무D1와 정부부채는 대상 범위가 다소 다르다. 국가채무D1는 국가재정법에 따라 국채, 차입금, 국고채무부담행위로 구성되나, IMF에서 활용하는 정부부채D2는 국가채무에 비영리공공기관 부채를 포함한 개념이다.

한지혜 기자 han.jeehye@joongang.co.kr

[J-Hot]

자궁 없애야 끝나는 병…입속에 숨은 충격 범인

"가해자 누나는 배우"…부산 20대女 추락사 폭로

대만, 韓잠수함 훔쳤다? 文정부 미스터리 행적

음주운전 김새론, 2년 만에 복귀…맡은 역할 깜짝

황정민 강남 건물 두 채 190억대…80억 뛰었다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지혜 han.jeehye@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52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09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