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내는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벼 종자 2321t 첫 수확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성과 내는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벼 종자 2321t 첫 수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6회 작성일 24-03-25 11:07

본문

뉴스 기사
2023년 시범사업 목표 14% 초과 달성

쌀 생산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벼 종자 생산단지를 조성해 수확량이 높은 벼 종자를 생산하고 농가에 보급하는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통해 벼 종자를 첫 수확 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2023년 개시된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 6개 국가에서 고품질 다수확 벼 종자 총 2321t을 처음으로 수확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국가별로는 가나 330t, 감비아 180t, 세네갈 66t, 기니 1119t, 카메룬 111t, 우간다 515t 등이다.


성과 내는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벼 종자 2321t 첫 수확

수확기 재배현장카메룬

K-라이스벨트는 한국의 국제적 농업 위상을 높이는 대표적인 브랜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다. 2023년 농진청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예산을 활용하여 6개국에서 종자 시범생산을 개시했고, 당초 목표인 2040t을 14% 상회하는 2321t을 최종 수확했다. 이번에 수확된 종자 물량은 사업 참여국과 협의를 거쳐 농가에 보급하거나 아프리카 취약계층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는 시범사업의 성공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현지 종자 생산을 확대해 2027년부터는 연간 1만t의 다수확 벼 종자를 생산하고 농가에 보급함으로써 아프리카 대륙 인구 3000만명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참여국들과 신속하게 사업 협의의사록RoD 체결을 진행 중이며, 올해부터 종자 생산단지 내 경지 정리, 용·배수로 설치, 농로 정비 등을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또 현지 정부와의 실시간 소통, 사업의 밀착 관리, 위기 대응 등을 위해 주요 거점국에 ODA 데스크도 설치해 인력을 파견할 계획이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아직 현지 종자 생산 기반이 충분히 갖춰지지 않았고, 비료나 농약, 농기계 사용이 여의찮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아프리카 참여국 간의 긴밀한 소통에 기반해 목표 이상의 성과를 달성했다"며 "이번에 생산된 종자가 아프리카 식량안보 혁신의 씨앗이 되도록 K-라이스벨트 사업을 빈틈없이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관련기사]
47세에 딸 51세에 아들 낳은 여배우…"사진은 비공개"
"수영복 촬영회, 이런 자세 금지"…日지자체, 논란 키운 안내
"노후자금 다 뜯기고 절 들어가…자녀 알까봐 복면쓰고 시위"
"당분간 의사는 안 한다"…면허 합격 소식에도 선택한 직업
하루 5000만원 별풍선 쏘던 큰손 사망…알고보니 평범한 회사원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알아두면 쓸 데 많은 총선 퀴즈, 내 점수는?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36
어제
871
최대
2,563
전체
422,26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