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패권 승자는…"TSMC 현실짚은 대만석학 인터뷰, 그 뒷이야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반도체 패권 승자는…"TSMC 현실짚은 대만석학 인터뷰, 그 뒷이야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1회 작성일 24-05-25 07:34

본문

뉴스 기사
- [인터뷰]가오원중 국립대만사범대 공대 교수
- 칩4 중 美·日 반도체시장 추격 예의주시해
- 中 반도체 굴기 주목…"인재·기술 확보 매진"
- "신뢰할 수 있는 기업·국가에 AI반도체 수요 쏠릴 것"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인공지능AI 반도체가 글로벌 산업계의 핵심으로 떠오른 가운데 AI 유니콘에 대한 관심 역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제2의 엔비디아, 젠슨 황으로 꼽히는 기업·인물을 엄선해 알기 쉬운 정보로 전해드립니다. 인기있는 캐릭터 및 연예인 포토를 한데 모으는 포토카드포카처럼 꼭 알아야 할 반도체 유망기업·인물들도 매주 소개하겠습니다. <편집자주>편집자주>

“미국과 일본의 첨단 반도체 기술 개발 속도에 집중해야 한다. 또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패권 유지 전략에 영향을 받겠지만 10~15년 후 AI 반도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도 있다.”

quot;반도체 패권 승자는…quot;TSMC 현실짚은 대만석학 인터뷰, 그 뒷이야기[포카Chip]
지난 16일 서울대 AI반도체포럼AISF에 참석한 가오원중高文忠 국립타이완사범대학교 과학기술·엔지니어링학과 교수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최영지 기자
“美·日 반도체 추격 주목해야…대만, TSMC 투자 많지 않아”


가오원중高文忠 국립타이완사범대학교 과학기술·엔지니어링학과 교수는 지난 19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과 한국, 일본, 대만 등 반도체 동맹인 ‘CHIP칩4’의 AI 반도체 기술개발 상황을 분석했다.

앞선 이데일리 보도 [단독]"삼성, TSMC 추격 가능"…K칩스 바라보는 대만 빅샷 시선은에서 TSMC와 삼성전자의 향후 사업 전망을 바라본 데 이어 반도체 경쟁국 간 기술개발 및 예상되는 첨단반도체 시장 상황에 대한 견해를 가감없이 드러낸 것이다. 가오 교수는 대만 응용기술연구소인 ITRI에서 SoC 부서장을 맡았고, 현재 최고 권위의 전기·전자학회로 꼽히는 IEEE 산하 소비자기술소사이어티CTSoc 회장을 맡고 있어 업계의 ‘빅샷’으로 꼽힌다.

그는 칩4 국가 중에서도 미국과 일본에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가오 교수는 “반도체 설계와 소프트웨어 분야는 미국이 이미 1위이고 반도체 생산에서 대만, 한국을 따라잡기 위해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며 “일본도 과거 명성을 되찾으려고 정부 투자에 힘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1988년 글로벌 시장점유율 50%에 달했던 일본 반도체는 2021년 6%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반도체 산업을 국가사업으로 전환하고 최근 2년 동안 2조엔약 18조원의 예산을 확보해 풀고 있다.

자국인 대만에 대해선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투자 등 보조금 정책이 이들 국가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가오 교수는 “이미 TSMC를 주축으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산업이 성숙한 상황인 데다 국가 예산이 한정돼 있어 이를 TSMC에 쏟을 이유가 없다”며 “대신 AI반도체를 개발하는 팹리스반도체 설계업체를 적극 육성 중”이라고 했다.

PS24052500068.jpg
지난 2022년 G20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AP통신
“中, 칩4 견제에도 반도체 굴기…결국 경쟁우위 가질 것”

미국와 한국과 일본, 대만과 함께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해 중국을 견제하고 있음에도 중국이 반도체 추격을 할 것이라는 게 가오 교수의 전망이다. 그는 “10~15년 후에는 중국이 결국 AI 반도체 우위를 갖게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중국에 가보면 이를 금방 알 수 있다”고 했다. 중국 내 다수 대학교에선 높은 수준의 반도체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데다 매년 1000만명의 엔지니어를 배출하고 있다. 한국, 대만과 달리 저출산 문제를 겪지 않는 것도 중국엔 유리하다.

가오 교수는 “주변에서도 중국 기업과 학교에서 높은 처우를 내걸고 대만 학자들을 영입하는 것을 봤다”고도 했다. 우리나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우에도 국외 인력 및 기술 유출이 지속해 고민을 안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가오 교수는 향후 신뢰할 수 있는 AI 반도체 기업과 국가로 구매 수요가 쏠릴 것이라며 중국은 이에 취약할 것이라고도 내다봤다. 그는 “온디바이스 AI 등 AI 인프라가 발전할수록 민감한 게 개인정보보호”라며 “중국의 불법적인 개인정보 수집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상상할 수도 없다”고 경고했다.

최근 국내 시민단체가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알리와 테무를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엄벌해 달라고 경찰에 고발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호주 싱크탱크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테무·알리와 인민일보 등 중국 국영 매체의 이용자 정보 공유를 소개하며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등 선동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 관련기사 ◀
☞ 구속 김호중, 편의점서 맥주 왜 샀나…전문가들 전략적 접근 추측
☞ 강형욱 "어린 子 향한 혐오단어에 눈 뒤집혀"…직원 메신저 감시 인정
☞ 고유정의 빨간 담요, 완전범죄는 없다 [그해 오늘]
☞ 대낮 길거리서 어머니에 ‘무차별 칼부림...패륜 아들 체포
☞ 안산서 누나 살해한 30대 남성, 아파트서 뛰어내려 숨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최영지 you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72
어제
1,161
최대
2,563
전체
424,77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