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신평 "증권사 부동산 PF 손실 최대 1.9조원 더 발생할 것"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나신평 "증권사 부동산 PF 손실 최대 1.9조원 더 발생할 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04-12 16:37 조회 21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나신평

나이스신용평가가 국내 증권사의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손실이 최대 1조9000억원까지 추가로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2일 나이스신용평가는 국내 증권사 25개 사를 대상으로 국내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살펴본 결과 약 1조1000억원에서 1조9000억원의 추가 손실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나신평은 경락가율경매 시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에 따른 세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해 각 시나리오별 손실 규모를 산출했다.

가장 긍정적인 시나리오는 변수 경락가율이 2023년 평균 경락가율의 하위 40%를 유지하는 상황이며, 그 다음으로 하위 30% 시나리오와 하위 25% 시나리오로 나누었다.

‘경락가율 하위 40%’ 시나리오에서 국내 증권사의 추가 손실 규모는 1조1000억원이었고, 하위 30% 시나리오에서 1조7000억원, 그리고 하위 25% 시나리오에서 1조 9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익스포저 유형별로는 부동산 PF, 브릿지론, 본PF에서 각각 3조1000억원~4조원, 2조6000억원~3조1000억원, 6000억원~9000억원의 추가 손실을 예상했다.

증권사 자기자본 규모별로는 초대형사가 약 3000억~6000억원, 대형사 약 6000억~1조원, 중소형사 약 2000억~3000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비관적인 시나리오인 ‘경락가율 하위 25%’ 시나리오에서도 증권사의 자본 적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감내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예리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지난 몇년간의 이익 누적 등으로 증권사의 자기자본 확대된 데다가 대손충당금과 준비금을 적극적으로 적립한 덕분”이라며 “부동산 외의 사업 부문에서 창출하는 이익이 많은 초대형 증권사가 아니면 수익성 하방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초대형사에는 미래·NH·한국투자·삼성·KB·하나·메리츠·신한투자증권 등 8곳, 대형사에는 키움·대신·한화·유안타·교보·신영·현대차·하이·IBK·BNK투자증권 등 10곳, 중소형사에는 유진·이베스트·DB·다올·부국·SK·한양증권 등 7곳이 포함된다.

저축은행 업권의 경우 부동산 PF 관련 손실이 대손충당금 규모를 초과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나신평의 김한울 금융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SBI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저축은행 16개사에 대한 충당금 적립률과 예상손실률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추가 손실 규모가 약 2조6000억원~4조8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김 책임연구원은 “추산치를 바탕으로 저축은행 업권은 약 1조원~3조3000억원의 충당금을 추가 적립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앞구르기 무한반복한 푸바오…‘할부지 사육사’가 내린 진단은

위자료 25만원에 교통비 8천원?…횡단보도서 車에 치여 날아갔는데

“조국·한동훈·이재명 다 떨어져나갔네”…믿었던 연결고리 이렇게 약할줄이야

걷기 부작용? 정말 같은 사람 맞나요…20대女, 3개월만에 60대 할머니?

“단군이래 이런 사업 또 없었다”…28조 따내려 건설사들 불꽃경쟁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