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못 갚고, 적금도 깬다…부실 20대 급증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빚 못 갚고, 적금도 깬다…부실 20대 급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1회 작성일 23-06-21 17:39

본문

뉴스 기사
빚 못 갚고, 적금도 깬다…부실 20대 급증


정부가 저소득·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판매하는 대출 상품을 20대 청년층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서민 전용 대출을 받은 뒤 원리금을 갚지 못해 정부가 대신 갚아준 대위변제율에서도 20대는 모든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코로나19 사태로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데다 다른 연령층에 비해 고금리와 경기 둔화로 인한 타격을 더 크게 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정부가 목돈 마련을 위해 설계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4명 중 1명은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 중도해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양정숙 의원실이 서민금융진흥원 등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근로자햇살론, 햇살론유스, 햇살론뱅크, 햇살론15, 최저신용자특례보증 등 7개 주요 서민 금융 대출 신청자 총 292만5555명 중 20대 이하 신청자가 102만9234명35.3%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30대26.9%, 40대20.4% 순이었다. 신청 후 승인율은 상품마다 다르지만 평균 94%에 달했다. 최대 100만원을 빌려주는 소액생계비대출의 경우 전체 신청자5711명 중 20대 비중이 12.7%725명였다.

대출 부실에서도 20대가 가장 심각했다. 지난 3월 기준 근로자햇살론의 20대 대위변제율은 11%로 집계됐다. 정부는 차주들이 대출을 상환하지 못하면 은행에 보증 비율만큼 대신 갚아주는 대위변제를 한다. 최근 1~2년간 30대를 포함해 다른 연령대의 이 수치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20대는 2020년 10.2%에서 2021년 10.5%, 2022년 10.7%로 증가세가 뚜렷하다.

코로나 사태를 전후로 서민 금융상품에 대한 청년 신청자 증가세가 두드러지면서 덩달아 연체도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은행권 관계자는 "20대는 금융 거래 이력이 적은 데다 소득이나 신용점수가 낮아서 시중은행 대출을 받는 게 쉽지 않다"며 "코로나 시기를 지나고 고물가·고금리로 20대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것도 서민 대출 상품 이용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청년층의 대위변제율이 높아지면서 가계부채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서민 전용 상품은 시중은행보다 최근 연체율이 상승세인 지방은행이나 저축은행, 상호금융, 인터넷은행 등에서 적극적으로 취급하고 있어 이들 은행은 건전성을 관리하는 데 부담이 커지고 있다. 양 의원은 "정부의 정책금융상품에 20대 신청자가 많고, 그에 비례해 연체율이 계속 높아지는 추세는 취업난과 관련 있다"며 "청년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청년 세대의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은 1년여 전 가입 대란까지 불렀던 청년희망적금을 중도해지한 사람이 최초 가입자의 24%에 달한다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를 채우면 최대 연 10% 금리 효과를 얻도록 설계됐고, 정부 최초 예상 수요인 30만명보다 7.6배 많은 약 290만명이 가입한 상품이다. 하지만 청년들의 주머니 사정이 나빠지면서 결국 해지에 이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금융감독원이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2월 출시 당시 최초 가입자는 289만5546명이었다. 하지만 올해 5월 말 기준 중도해지자는 68만4878명이다. 중도해지율이 23.7%에 이른다.

특히 월 납입금액대별로 중도해지율 편차가 컸다. 월 10만원 미만을 납입한 사람의 중도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월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납입자의 해지율은 48.1%였다. 반면 납입 한도인 월 50만원을 꽉 채운 청년들의 중도해지율은 14.8%로 가장 낮았다.

한국은행은 이날 2023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이 청년층을 중심으로 취약차주 대출을 늘리면서 건전성 우려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2019년 대비 작년 말 기준 저축은행의 연령대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를 보면 20·30대의 증가폭이 51.6%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명지예 기자 / 채종원 기자 / 임영신 기자]

“지금까지 1천대 이상 배달”…70㎏ 냉장고 업고 나르는 여성의 정체

“이사오면 1억 드립니다”...인구 급감한 이 섬, 결국 현금 지원책까지

예약 꽉 찼을줄 알았는데…“기대가 너무 컸나” 맥못춘 이 업종

지상파서 슈퍼푸드라며 띄우더니… 알고 보니 쇳가루 범벅

“천일염값 폭락할까 그게 더 걱정”…품귀현상 이유 따로 있다는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80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69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