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BYD 승용 전기차, 국내 상륙할까…車업계 주목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中BYD 승용 전기차, 국내 상륙할까…車업계 주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4-02-15 06:12

본문

뉴스 기사
-배터리부터 완성차까지 직접 생산 가능한 점에 긴장
-실제 진출 여부는 미정... 국내 서비스 네트워크 등 미흡, 인증 신청도 無


中BYD 승용 전기차, 국내 상륙할까…車업계 주목
미국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차 판매 세계 1위를 차지한 중국 비야디BYD가 국내 승용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BYD는 GS글로벌과 손잡고 전기트럭, 전기버스 등 상용시장에 먼저 진출했는데 승용시장으로 발을 뻗치기 위한 준비를 이어가는 중이다.

15일 수입차업계에 따르면 BYD는 현재 국내 승용판매를 검토 중이지만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업계 일각에선 인증 절차를 밟는다는 설이 있지만 BYD와 정부 측에 확인 결과 인증은 신청조차 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국내 진출과 관련해 관심을 모으는 건 BYD의 특징 때문이다. BYD는 배터리부터 전기차까지 직접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 저비용·고효율 생산 시스템을 통해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다.

관련업계에서는 BYD의 국내진출 시 첫 출시 모델로 중형세단 씰, 돌핀, 아토 3가 유력하다고 본다. 해당 차종의 해외판매가 기준으로는 씰은 5100만원대, 아토3는 4400만원대, 돌핀은 3900만원대다. 전기차 국비보조금 100% 지원 받을수 있는 가격인 5500만원 미만이다. 국내 판매마진과 물류비 등을 더하더라도 가격경쟁력은 분명하다.

주행가능거리도 무난한 수준이다. 유럽기준으로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는 씰은 550~700km, 아토3는 420km, 돌핀은 427km다.
이 같은 이유로 국내 완성차업계는 물론 수입차업계도 BYD의 행보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현대차와 기아도 BYD의 국내 진출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지만 국내 소비자들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사고가 났을 때 수리문제와 같은 AS서비스 등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것 때문에 국내시장에 진출해도 소비자들 마음 사로잡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수입차업계는 직접 비교대상이 아니라는 분위기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국내 출시된 차들은 대부분 프리미엄 브랜드의 핵심 차종인 만큼 BYD와 직접 비교대상이 아니지만 지켜보고 있다"며 "전기차 시장에 새로운 경쟁구도와 판이 커지는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전문가는 어떻게 상황을 진단할까.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BYD는 한국에서 아토3, 돌핀 등 저렴하면서 해외에서 품질을 인정 받은 모델을 출시해야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짚었다.

[머니S 주요뉴스]
"돈 벌어오는 노예"… 박수홍 탄원서, 큰형 부부 1심 선고 변수되나
에이피알, 공모청약 돌입… 따따블 성공 시 25만→100만원
갤럭시 S24 통번역 기능 아쉬움 남아… "외국어 공부 열심히 하세요"
[특징주] 링크제니시스, AI 가속기 2배 공급 확대 전망… NPU 특허·삼성전자 고객사 부각
배보다 배꼽? 다이소 온라인 강화 약일까 독일까
새해 첫 IPO 나선 대어급 에이피알… 공모주 흥행 이어갈까
"올리브영, 게 섰거라"… 다이소 뷰티 품절 대란
HD현대중공업, 19일 조업 중단… "사상 사고 발생, 특별 교육"
[단독] 대전협 "총선 2~3주 전 데드라인"… 3월 중순 병원 비운다
62억 횡령 혐의… 박수홍 친형 1심 징역 2년·형수 무죄


장동규 기자 jk3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98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10,11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