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기업, 美 437개 늘때 韓은 4개 증가 그쳐…"기득권 견제탓"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유니콘기업, 美 437개 늘때 韓은 4개 증가 그쳐…"기득권 견제탓"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3회 작성일 23-06-22 03:02

본문

뉴스 기사
최근 4년간 전세계 유니콘 분석

韓 비중 2.2%→1.2%로 뒷걸음질

핀테크-AI 등 미래산업 스타 없어

타다-로톡, 기존산업 반발에 좌절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중 국가별 비중 변화.ep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성장한 국내 비대면 의료 플랫폼 산업은 고사 위기에 처했다. 의약계와의 갈등 속에서 정부가 내놓은 시범사업안이 ‘재진’만 가능하도록 한 게 결정적이다. 개인정보 문제로 플랫폼 사업자가 초·재진 여부를 확인하긴 어렵기 때문에 관련 스타트업들은 더 이상 사업을 이어가기 힘든 환경에 놓였다고 토로한다. 국내 한 벤처캐피털VC 관계자는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면 기존 이해관계자들의 반대가 너무 심하고, 그들의 눈치를 보느라 정부도 흔들리니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국내 ‘유니콘’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대비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낡은 규제가 혁신을 가로막는 데다 유사 산업 기득권자들의 반발에 번번이 발목을 잡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미국 437개 생길 때 한국에선 4개만 나와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글로벌 리서치 회사 CB인사이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5월 기준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수는 1209개로 2019년449개 대비 760개169.3% 늘었다. 같은 기간 미국은 218개에서 655개로 437개200.0%가 증가했다. 반면 한국은 10개에서 14개로 4개40.0%가 추가되는 데 그쳤다.

한국 유니콘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2.2%에서 1.2%로 1.0%포인트 뒷걸음쳤다. 압도적 1위인 미국은 48.6%에서 54.2%로 비중이 더 높아졌다. 중국24.3%→14.0%이 다소 주춤했지만 인도4.5%→5.8%의 영향력이 커졌다. 2019년 한국보다 유니콘이 적었던 이스라엘1.6%→2.0%, 프랑스1.1%→2.1%, 캐나다0.4%→1.7% 등도 약진했다.

한국은 특히 핀테크, 인공지능AI, 헬스케어 등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업종에서 ‘스타’를 배출하지 못했다. 국내 유니콘 핀테크 기업은 1곳7.1%뿐이다. AI는 한 곳도 없다. 헬스케어 부문에선 유일한 유니콘이었던 에이프로젠이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면서 다시 ‘제로’가 됐다. 국내 스타트업 관계자는 “한국은 할 수 있는 것만 나열하는 ‘포지티브’식 규제 위주여서 안 되는 게 많다”며 “핀테크, 모빌리티, 바이오·헬스케어 등은 이런 규제에 기존 업종과의 충돌까지 크다”고 했다.

● 기성 산업과의 충돌에 번번이 막혀

업계에서는 기성 산업과의 충돌 속에서 신산업이 표류하는 사례도 잇달아 나오고 있다. 택시 업계와의 갈등으로 사업을 접은 승차 공유 플랫폼 ‘타다’나 변호사 업계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는 법률 플랫폼 ‘로톡’이 대표적이다.

타다는 출범 1년 만에 170만 회원을 모집했지만 국회가 법을 바꾸면서까지 타다 사업 모델을 불법으로 규정해 2020년 4월 서비스를 종료해야 했다. 로톡 역시 한때 회원 변호사가 4000명까지 늘어날 정도로 성장했지만 대한변호사협회 등 변호사단체와 갈등을 빚으며 사업이 급속도로 위축됐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이 성장하려면 투자 유치가 가장 중요한데 ‘타다’ 같은 사례는 기존 법체계와 부딪히는 사업에 투자하면 안 된다는 시그널로 작용한다”며 “결국 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스타트업 생태계에 활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39
어제
1,279
최대
2,563
전체
435,30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