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쇼크에 꽉 닫힌 6월 금리인하…장중 환율, 1365원 터치[외환분석]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물가 쇼크에 꽉 닫힌 6월 금리인하…장중 환율, 1365원 터치[외환분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4-04-11 12:43

본문

뉴스 기사
- 2022년 11월 10일 이후 1년 5개월 만에 ‘최고’
- 美3월 소비자물가, 석 달 연속 예상치 상회
- 6월 금리인하 기대 소멸…연내 ‘2회 인하’ 무게
- 달러 ‘초강세’에 엔화 가치 34년 만에 ‘바닥’
- 외국인 투자자 국내 증시서 5000억원대 순매수
- 전문가 “강달러 지속…상단 1380원으로 상향”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60원을 돌파했다. 미국의 물가 쇼크에 인플레이션 우려, 금리인하 지연으로 이어지며 달러화는 강력해졌다. 이미 연고점을 넘어 코로나 이후 금리인상기 때로 환율이 치솟았다. 당분간 달러 강세가 지속되며 환율이 추가 상승할 수 있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환율 1년 5개월 만에 ‘최고’

물가 쇼크에 꽉 닫힌 6월 금리인하…장중 환율, 1365원 터치[외환분석] 사진=AFP 11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오후 12시 34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1354.9원보다 8.95원 오른 1363.85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10.1원 오른 1365.0원에 개장했다. 지난 2일1356.0원 연고점을 경신한 것이자, 장중 고가 기준으로 지난 2022년 11월 10일1378.5원 이후 1년 5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 시기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으며 한창 금리인상을 단행하던 때다. 개장가를 고점으로 환율은 1360원 초중반대를 오가고 있다.

지난주 뜨거웠던 고용에 이어 소비자물가CPI도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미국 경제의 견고함이 증명됐다.

미 3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보다 0.4% 올라 월가 예상치인 0.3%를 웃돌았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3.5% 올랐다. 이는 전월치였던 3.2%와 월가 예상치인 3.4%보다 상승 폭이 컸다.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4% 올랐다. 이는 전월과는 같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예상치인 0.3% 상승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8% 올라, 예상치인 3.7%를 웃돌았다. 소비자물가는 석 달 연속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81.3%로 반영했다. 6월 25bp 금리인하 가능성은 17.9%로 축소됐다. 이에 연준이 6월에 금리인하할 가능성은 사실상 소멸됐고, 7월도 아닌 9월 금리인하로 후퇴했다. 당초 올해 세 차례 금리인하에서 두 차례 이하 인하 쪽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TV에 출연해 “다음 금리 행보는 인하가 아니라 인상이 될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도 3월 소비자물가 발표 직후 올해 금리인하 전망 횟수를 종전 3회에서 2회로 하향조정했다.

글로벌 달러화는 초강세다. 달러인덱스는 10일현지시간 저녁 11시 34분 기준 105.12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5개월여 만에 최고치다.

엔화는 약세가 심화했다. 달러·엔 환율은 장중 한 때 153엔대까지 치솟으며, 엔화 가치가 달러 대비 3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미국 금리인하 지연으로 엔화 약세의 주된 요인으로 꼽히는 미국과 일본 간 금리 차가 당분간 축소되지 않고 유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엔화를 팔고 달러화를 사들이는 움직임이 강해진 것이다.

이날도 스즈키 #xfffd;#xfffd;이치 재무상이 “과도한 움직임에는 모든 옵션선택지을 배제하지 않고 적절히 대응하겠다”며 시장 개입을 시사하자, 달러·엔 환율은 152엔대로 내려와 움직이고 있다.

위험회피 심리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수 우위를 나타내며 환율 하락을 지지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5500억원대를 순매수하는 반면, 코스닥 시장에선 600억원대를 순매도 하고 있다.

국내은행 딜러는 “개장가를 고점으로 해 이후에는 달러 매도세가 들어왔고, 확실히 1360원 후반대에서는 상단이 제한되는 분위기”라며 “또 일본 외환당국의 엔화 개입 경계로 인해 계속해서 환율은 하락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강달러 지속…다음 지지선 1380원

PS24041100727.jpg 사진=AFP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예상보다 선전하고 있는 미국 경제로 인해 달러화 강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2분기 환율 상단도 상향 조정하고 나섰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 지연은 달러화 강세와 함께 원화 약세 부담을 높일 것”이라며 “당초 환율 상단을 1350원 수준으로 예상했지만 1380원으로 높인다”고 밝혔다.

서정훈 하나은행 연구원은 “외국인 자금 유입, 수출 호조에도 원화 약세가 타 통화 대비 두드러진다”며 “이는 결국 우리나라 경기가 미국 경기 호조를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 연구원은 “따라서 국내 영향보다 미국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다”며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황, 통화정책 지연 등이 가장 핵심적으로 우리 수급을 누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은행 딜러는 “현재 지표와 경제 상황으로 봐서는 달러 강세 추세가 꺾이기는 쉽지 않다”며 “연준의 금리인하는 7월을 시작으로, 연 2회 정도에 그칠 듯 하다”고 내다봤다.

▶ 관련기사 ◀
☞ 한덕수 총리, 尹에 사의 표명…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참모진도 사퇴
☞ 총선 개표 100%완료, 민주 175·국힘 108·조국12·개혁3종합
☞ 나체 상태에 피까지…주차장서 발견된 20대女, CCTV ‘충격
☞ 박근혜 만세 외친 이유는...조국당서 금배지 단 리아
☞ ‘보수 만화가 윤서인 “이재명, 수퍼 대통령 될 것…한국 떠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이정윤 jyoo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83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40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