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인증 때 받는 1원, 무제한 가능할까요[궁즉답]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본인인증 때 받는 1원, 무제한 가능할까요[궁즉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4-02-22 17:40

본문

뉴스 기사
- 1원인증, 금융사 재무적 부담은 크지 않아
- 금융사별 연간 100만~200만원 수준 소요
- 역이용하는 악용사례 막기 위해 횟수 제한


이데일리는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여러 분야의 질문을 담당 기자들이 상세하게 답변드리는 ‘궁금하세요? 즉시 답해 드립니다궁즉답’ 코너를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편집자>

Q. 은행에 본인인증을 하면 1원씩 입금을 해주는데요. 확인이 안 될 때 몇 번씩 하기도 합니다. 아무리 1원이라고 해도 고객이 많고 횟수가 잦으면 타격이 클 것 같은데 무리가 없는지, 얼마 정도 드는지 궁금합니다.

본인인증 때 받는 1원, 무제한 가능할까요[궁즉답]
사진=게티이미지
‘직박구리’, ‘감성인생’, ‘철쭉나무’.

땅 파서 돈이 나오진 않으나 계좌인증을 통해 1원 획득한 경험 있으신가요.

계좌를 만들거나 비대면 금융서비스 거래 시 금융회사가 ‘1원 송금’을 통해 실명인증을 하는 경우를 다들 한 번쯤 겪어 봤을 텐데요.

은행연합회 비대면 실명인증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실명인증을 하기 위한 절차로는 △실명확인증표 △영상통화등 △카드, 통장, OTP 등 전달과정에서 확인 △기존계좌 활용1원 계좌인증 등 △생체정보 중 2개가 필수 사항입니다. 이 다섯 가지 중에 두 가지는 갖춰야 한다는 건데요. 또 금융회사 자체 추가 확인방식공인인증서, 휴대폰, 신용정보사에서 보유한 정보와 대조은 권고사항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1원 계좌 인증이란 본인의 계좌를 통해 금융사로부터 1원을 받고 다시 본인 인증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입급자명으로 ‘직박구리’, ‘감성인생’ 같은 한글을 입력해야 본인 인증이 최종 완료되는데요.

문득 궁금한 점도 생깁니다. 이렇게 금융사에서 불특정다수에 본인 인증으로 ‘1원’을 주다 보면 손해가 쌓이지 않을까. 비용은 얼마나 들까.

다수의 금융사에 그 답을 들어봤는데요. 이들 금융사는 정확한 수치를 공개하진 않았으나 공통으로 1원 계좌인증을 통한 재무적 부담은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전했습니다.

PS24022201058.jpg
금융사 규모에 따라 다르겠으나 A금융사의 경우 지난해 앱 비대면 실명확인을 통한 타행이체건1원은 약 98만건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1년에 약 1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셈입니다.

B금융사는 매달 20만명 가량의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에 따라 계좌개설을 위한 인증 수단 중 하나인 1원 계좌인증 또한 매달 10~20만건 가량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1년 동안 이 정도의 인증이 이뤄진다고 가정하면 대략 120만원에서 240만원의 비용이 들어가는 것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C금융사는 지난해 1원 계좌인증 건을 집계해보니 60만건, 즉 60만원이 쓰였다고 합니다. 해당 금융사 관계자는 “은행 사업에 부담되는 금액 수준은 아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를 역이용한 악용 사례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도 나옵니다.

아무리 단 돈 1원이라고 하더라도, 고객이 무제한으로 1원 계좌인증을 허용할 시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계속 시도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증단어를 유추하려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암표상들이 주로 활용하는 매크로구매 명령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프로그램를 쓰는 불법 행위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대다수의 금융사에서는 1원 계좌인증 인증에 대해 횟수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한 금융사의 경우 1원 계좌인증 후 가입자 개인정보 내용을 확인해 기재하는 시간을 15분으로 단축했습니다. 이는 대포통장 개설을 예방하는 등 금융사기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데일리 궁즉답에서는 독자 여러분들이 알고 싶어하는 모든 이슈에 기자들이 직접 답을 드립니다. 채택되신 분들에게는 모바일 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 이메일 : jebo@edaily.co.kr
  • 카카오톡 : @씀 news


▶ 관련기사 ◀
☞ 의협 "2억9000만원, 비난받을 정도로 많은 연봉입니까"
☞ 키 차이만 190cm…세계 최장신男, 최단신女 만났다
☞ “‘농사 잘 지었다더니 나가라더라”…귀농 유튜버 분통
☞ “호스트바 들락거린 아내, 선물사주고 호텔까지…이혼할 수 있을까요?”
☞ 명절 지나니 이혼 급증? 한 장의 사진이 부른 논쟁[중국나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정두리 duri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95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6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