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받은 전세금 1분기만 1.4조원…올해 최고치 경신하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못 받은 전세금 1분기만 1.4조원…올해 최고치 경신하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4-04-17 09:17

본문

뉴스 기사
작년 같은 기간보다 작년보다 80% 증가
보증기관 HUG 재무건전성 빨간불

기사관련사진
아시아투데이 김다빈 기자 = 전세사기와 역전세 등의 영향으로 임차인세입자이 제때 돌려받지 못한 전세보증금이 올해 1분기1~3월에만 1조4000억원을 넘어섰다. 증가세도 가파르다. 전세보증사고 금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 늘었다. 이에 따라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갚아주는 보증기관의 재무건전성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1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사고액은 1조4354억원, 사고 건수는 6593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7973억원 대비 80.0%6381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올해 전세보증 사고액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전세보증 사고액은 4조3347억원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 사고 건수도 1만9350건에 달했다. 세입자 2만명가량이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을 받지 못해 HUG에 대신 돌려달라고 청구한 것이다.


전세금 반환 요청을 받은 HUG가 작년 한 해 세입자에게 내어준 돈대위변제액도 3조5540억원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대위변제액은 8842억원, 대위변제 건수는 4020건이다. 지난해 1분기5865억원와 비교했을 때 50.8%2977억원 늘었다.

전세사기와 역전세 등으로 HUG의 대위변제액 증가가 불가피해지자 HUG의 재무건전성에도 비상이 걸렸다. HUG는 2022년 408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2009년 이후 13년만에 적자를 냈다. 지난해에는 3조8598억원의 당기순손실로 1993년 설립 후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2013년 HUG가 보증보험 관련 상품을 출시한 이후 해마다 대위변제액이 증가하고 있어서다. 전세보증사고 규모가 △2021년 5790억원 △2022년 1조1726억원 △2023년 4조3347억원 등 해마다 늘고, HUG의 변제금액도 함께 증가한 것이다. 대위변제액은 △ 2021년 5040억 △2022년 9241억원 △2023년 3조5540억원으로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HUG의 재정 악화로 대위 변제 여력이 줄어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히지만 HUG 측은 자본 여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올해 2월 정부에서 4조원대 현금출자를 받았고, 지난해에도 두 차례에 걸쳐 1조원 이상의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보증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HUG 관계자는 "정부 출자와 채권 발행 등을 통해 5조80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확보했기 때문에 충분한 보증여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를 토대로 전세보증·임대보증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한 보증을 차질 없이 공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박영선·양정철 기용설에
與 내부도 술렁 "당 정체성 부정"

尹 "소통문제 개선할 것"
영수회담 가능성도 열어뒀다

尹 "국민 뜻 받들지 못해 죄송…
뭐든 다 하겠다"

尹 "의료개혁 계속 추진…
합리적 의견 더 챙기겠다"

김다빈 dabinnett@daum.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88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40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