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월만 최저 물가에도 불안 산적…"8월부터 3% 안팎 등락"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25개월만 최저 물가에도 불안 산적…"8월부터 3% 안팎 등락"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7회 작성일 23-08-03 00:01

본문

뉴스 기사
- 7월 소비자물가 2.3%…2개월 연속 2%대
- 폭우에 채소 등 밥상물가 들썩…기저효과 약화 전망
- 유가·기상 변수도…정부·한은 "불확실성 높아"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최정희 기자] 물가상승률이 6개월 연속 둔화하면서 두 달째 2%대를 기록했다. 석유류 가격이 역대 최대 폭으로 하락하면서 25개월 만의 가장 낮은 물가 상승률을 견인했다. 다만 최근 집중호우로 채소류를 중심으로 밥상물가가 들썩이는데다, 8월부터는 기저효과가 축소될 것으로 보여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는 관측이 나온다.

25개월만 최저 물가에도 불안 산적…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2020년=100으로 전년동월대비 2.3% 올랐다. 이는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치다. 앞서 이데일리가 국내 증권사 7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7월 물가 상승률 전망’ 설문조사 결과2.4%보다도 0.1%포인트 더 낮았다.

전체 지표의 둔화세를 이끈 건 석유류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25.9% 하락해 1985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 감소했다. 석유류 가격에 영향을 받는 공업제품0.0%, 전기·가스·수도21.1%도 상승폭이 둔화했다.

물가 둔화세가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크게 낮아진 것은 작년 7월 물가 상승률이 6.3%로 정점을 찍은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폭우 피해로 지난달 상추와 시금치가 각각 83.3%, 66.9% 폭등하는 등 채소류 물가 오름세도 심상치 않다.

정부는 기상 이변, 추석 명절, 국제유가 상승 등을 이유로 다음 달까지는 물가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봤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8월부터는 물가상승률이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에서 등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PS23080300001.jpg
집중호우로 인해 채소류 도매가격이 크게 오른 24일 오전 서울 경동시장에 채소가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관련기사 ◀
☞ “카이스트 나온 내가 문제야?” 학부모 막말에 교사 속앓이
☞ 순살아파트 우려에 "입주자·손해배상, 예정자·계약해지권"
☞ 연예인 출신 600억 사업가 ‘성추행 유죄...벌금 300만원
☞ 경남 스파이더맨? 아파트 3층 20초만에 오른 절도범 영상
☞ 주호민, 특수교사 선처 탄원서 제출…“너 싫어” 녹취록 전문가 의견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이지은 jeanle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22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04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