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보다 더 오른 물가…작년 소득 4.4% 늘 때 소비 5.7% 증가[신한보통사...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월급보다 더 오른 물가…작년 소득 4.4% 늘 때 소비 5.7% 증가[신한보통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4-04-17 10:02

본문

뉴스 기사
신한은행 ‘2024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월급보다 더 오른 물가…작년 소득 4.4% 늘 때 소비 5.7% 증가[신한보통사람금융생활]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지난해 가구 소득이 늘었지만, 물가 상승으로 소비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비와 교통비, 월세 등 기본 생활비가 소비의 50%를 차지하면서 의류나 미용 같은 필수 소비가 아닌 지출 항목은 억누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가구 평균 빚 규모는 7% 정도 줄었지만, 월 부채 상환액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로 전년과 같았다.

소득 늘었지만, 물가 오르고 이자 증가해 사실상 그대로

20240417050186_0.jpg
신한은행 ‘2024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발췌.

17일 신한은행의 ‘2024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은 544만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521만원보다 4.4% 늘었지만, 같은 기간 가구 월평균 소비는 261만원에서 276만원으로 5.7% 늘었다. 버는 돈이 많아졌지만, 물가 상승에 따라 쓰는 돈이 더 크게 늘었다는 얘기다.

소비 가운데서도 식비23.2%,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등 기본 생활비가 50%를 차지했다. 지난해 월평균 식비 지출액은 64만원으로 2022년58만원과 비교해 6만원 늘었다. 월평균 주거비 또한 같은 기간 4만원 늘어 3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기·가스요금이 급격히 오른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21년부터 13~14만원을 유지하던 용돈은 17만원으로 1년 새 3만원 늘었다. 고물가 현상이 반영된 까닭이다.

이자비용 증가도 늘어난 소득 체감을 어렵게 했다. 지난해 월평균 부채상환 비용은 54만원으로 전년52만원에서 증가했고, 소득 내 차지 비중도 10%로 같았다.

가구 평균 자산 6억294만원, 4.8%↑

20240417050187_0.jpg
신한은행 ‘2024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발췌.

지난해 평균 보유자산은 6억294만원으로 조사됐다. 1년전5억7506만원과 비교해 2788만원4.8% 늘어난 것이다.

자산 내 비중은 ▷부동산 79.7% ▷금융자산 13.6% ▷기타자산 6.7% 등으로 집계됐다. 총자산의 80%가량을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 규모는 4억8035만원으로 2022년보다 4.2%1926만원 늘었다. 자산 증가율은 2022년 11.4%에서 2023년 4.2%로 크게 줄었다. 고금리에 따른 집값 하락 등 현상이 나타난 결과다.

지난해 금융자산 규모8178만원는 2021년부터 꾸준히 늘어 8000만원대를 돌파했다. 하지만 증가폭은 2022년 613만원에서 2023년 418만원으로 줄었다. 저축 여력 또한 쪼그라들었다. 2021년 41.8% 수준이었던 소득 내 저축 여력저축예비자금은 2022년 39.9%, 2023년 39.3%로 점차 감소했다. 고금리와 고물가에 따른 지출이 늘어나며, 저축·투자 여력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평균 보유 자산은 가구소득 1~5분위 모두에서 증가했다. 상위 20%에 해당하는 5구간의 평균 자산은 2023년 기준 11억6699만원으로 전년도11억2135만원에 비해 4564만원 늘었다. 1구간과 2구간은 각각 1291만원, 1582만원 늘어난 1억6130만원, 3억3391만원을 보유했다. 전반적으로 자산 증가폭이 완만해지며 1구간과 5구간의 자산 격차는 2021년 8.4배에서 2023년 7.2배로 감소했다.

고금리에 ‘빚부터 갚자’

20240417050257_0.jpg

2016년 이후 지속 증가했던 평균 부채는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고금리에 따른 이자 상환 부담이 늘어난 결과다. 평균 부채 잔액은 1억201만원으로 2022년1억973만원과 비교해 7%가량 줄었다. 하지만 고금리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부채 상환액은 85만원에서 93만원으로 9.4% 나 증가했다.

소득 상위권에 해당하는 소득 1·2구간의 부채잔액은 각각 5198만원, 8137만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각각 11%, 3.1% 늘었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부채 규모가 줄었다. 하위 20%에 해당하는 소득 1구간의 경우 전 구간에서 부채감소율이 가장 컸다. 소득 1구간의 평균부채는 2023년 1억3573만원으로 전년도1억5988만원에 비해 15.1% 감소했다. 하지만 월 부채상환액의 경우 130만원으로 전년도와 동일했다.



woo@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알몸으로 자는데 호텔방 문 벌컥…무단침입男에 악몽된 부부 호캉스
▶ 아이칠린 초원, 야구 경기 관람 중 파울볼 맞고 혼절…“정밀 검진 중”
▶ “제발 이런 짓 하지 말라”…쿠팡 프레시백 열어보니 쓰레기 한가득
▶ 배우 홍수현이라 더 빛나네…형지, ‘샤트렌’ 프리미에르 공개
▶ 악명 높은 일진 의혹 더글로리 김히어라 "당사자들과 기억 정리…서로 이해"
▶ 회사 혼자 야근하던 직장인, 20억 ‘초대박’ 터졌다…문득 긁었더니 당첨, 무슨 일
▶ 故 박보람, 부모님 곁으로…허각·강승윤 등 애도 속 영면
▶ 허각, 故 박보람 빈소 가장 먼저 찾아…잇단 조문행렬
▶ 성인페스티벌, 또 장소 옮겼다…이번엔 “티켓 구매자한테만 장소 공개”
▶ 뉴진스 ‘슈퍼샤이’, 전 세계에서 5억번 들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480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5,45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