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울 땐 국밥" 무턱대고 국물 퍼먹다 골골…소금 폭탄 피하려면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추울 땐 국밥" 무턱대고 국물 퍼먹다 골골…소금 폭탄 피하려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7회 작성일 23-11-17 11:14

본문

뉴스 기사
[박정렬의 신의료인]

본문이미지
날이 추워지면 따뜻한 국물 요리가 생각난다. 국밥과 해장국, 칼국수와 된장국 같은 국물 요리는 몸을 덥혀주고 속도 든든히 채울 수 있어 한국인의 사랑을 받는다.

그러나, 국물의 민족인 한국인에게 나트륨 과다 섭취는 피할 수 없는 숙제와 같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나트륨 함량 상위 5개 국물 요리는 1회 제공량을 기준으로 뼈다귀해장국3088.21㎎, 선지해장국3074.53㎎, 열무김치국수3007.45㎎, 배추된장국2339.07㎎, 닭칼국수2125.17㎎ 순이다. 한 끼만 먹어도 세계보건기구WHO의 일일 나트륨 권장 섭취량2000㎎을 훌쩍 넘는 수준이다.

가천대길병원 소화기내과 김경오 교수는 "WHO의 세계 나트륨 섭취 저감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한국인의 나트륨 일일 섭취량은 4854㎎으로 세계 평균4310㎎보다 525㎎ 높고, WHO 일일 섭취 권고량의 2배에 달한다"며 "국물 요리는 간을 세게 하기 위해 많은 양의 소금이 들어가 장류, 젓갈류와 함께 한국인의 나트륨 과다 섭취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본문이미지

과다한 나트륨 섭취는 고혈압, 비만 등 만성질환과 심장질환, 신장질환,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나트륨이 위 점막에 작용해 위염이나 위궤양 같은 위장질환의 위험을 키우고 위축성위염을 포함한 만성 위염으로 악화한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 위암이 발생하게 된다. 골다공증도 문제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소변을 통해 칼슘 배출이 증가하고, 체내에 부족한 칼슘을 뼈에서 공급받는 과정에 골다공증의 위험이 급증한다.

실제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면 만성질환 유병률과 이에 따른 사망률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2009년 기준 4700㎎인 한국인의 나트륨 일일 섭취량을 3000㎎으로 낮추면 연간 12조6000억원 달하는 사회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국물 요리는 건더기 위주로 먹고, 간은 심심하게 맞추며 별도로 소스를 찍어 먹는 등 전체적으로 소금 섭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본문이미지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12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 소금 매대 모습. 2023.10.12.

나트륨도 섭취량을 너무 줄이면 되레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다만, 나트륨은 직접 넣은 소금양에만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사실 대부분의 식자재에는 소량이라도 나트륨이 포함돼있다. 과일, 채소, 살코기, 생선 등 가공하지 않은 천연 재료를 통해 성인들은 필요한 하루 소금양의 30%를 섭취할 수 있을 정도다. 음식 조리 시 사용하는 분말 수프, 간장을 포함한 각종 조미료 등에도 나트륨이 들어 있다. 김 교수는 "일상에서 무심코 섭취하는 다양한 천연 식자재는 물론 제산제, 방부제, 아스피린, 소화제와 같은 약물에도 나트륨이 있다"라며 "음식 조리나 섭취 시 소금의 양뿐 아니라 식품 첨가물 표시 내역을 꼼꼼히 살펴봐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짠맛에 익숙해진 입맛을 되돌리려면 보통 일주일이 소요된다. 이 시기 소금 사용을 줄여 싱겁게 먹는 습관을 들이고 나트륨이 많은 가공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가천대길병원 허정연 영양실장은 "어릴 때부터 된장, 고추장, 젓갈 등을 즐겨 먹는 한국인들의 입맛은 짠맛에 익숙해져 있다. 나이가 들면 미각이 둔해지는데 이런 이유로 떨어진 식욕을 돋우기 위해 일부러 음식을 더 짜게 먹거나 조리하는 경우가 있다"며 "하지만 음식을 싱겁게 먹으면 맛을 느끼는 미뢰가 예민해져 음식의 참맛을 더 잘 느낄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소금양을 줄여도 향이 있는 양념이나 고춧가루, 후춧가루 등을 사용하면 한층 풍부한 맛을 낼 수 있다.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진 파, 마늘, 양파, 생각 등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도 소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허 영양실장은 "신맛과 단맛을 가미하면 적은 양의 소금을 써도 음식의 풍미를 살릴 수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기대 없어"…정우성, 25년 지기 이정재와 존댓말 하는 이유
"살려줘" 문 두드리며 호텔 난동 20대 여성…또 마약
"애 둘 엄마가 불륜" 남편 문자 SNS에 올린 아내
"정명석 몹쓸 짓한 장소"…나혼산 호텔 PPL 의혹에 "사실무근"
나경은♥ 유재석, 현실 결혼생활 고백 "늘 웃음만 있지는 않아"
심장수술로 혼수상태 겪은 배우…"소주 10병씩 매일 마셔" 충격
父子 서로 감췄던 아픈 비밀 들췄다…LG 상속재판서 흔들린 명예
강남불패도 끝? 잠원동 신축 13억 뚝…"서울 외곽 더 떨어진다"
이경규 "강형욱, 안락사 언급에 견주 오열하는데 노래 불러"
속초 명소 대관람차 철거한다…지난해 생겼는데, 왜?
베일 싸였던 수능 샤프 공개에 반응 폭발…"역대 가장 예쁜 색"
[단독]이마트, 1년 만에 자연주의 로드숍 철수…11개 점포 폐점
"무노동 무임금"…파업 지하철 노조 4470명, 내달 월급 7억 깎인다
중국 휩쓴 폐렴, 국내서도 한달새 2배 급증…10명 중 8명 아이들
[영상]"아빠한테 영상 보냈다"…러시아 여의사가 제안한 쾌변 자세

박정렬 기자 parkjr@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08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8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