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에…2022년 귀농·귀촌 인구 3년 만에 감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부동산 침체에…2022년 귀농·귀촌 인구 3년 만에 감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3-06-22 20:43

본문

뉴스 기사
33만2000여가구… 전년比 12% ↓

인구이동 급감 탓… 평균연령 43.4세


부동산 침체에…2022년 귀농·귀촌 인구 3년 만에 감소
지난해 귀농어·귀촌 인구가 3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국내 인구 이동자 수가 급감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어·귀촌 가구는 총 33만2131가구로 전년보다 12.3% 감소했다. 가구원수도 43만9268명으로 전년보다 15% 줄었다.

귀농어·귀촌 인구 감소는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1974년 이후 48년 만에 최저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이 때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증가 추세였던 귀농·귀촌 가구는 3년 만에 뒷걸음질 쳤다. 특히 귀어 가구의 경우에는 2019년, 2020년 감소 추세를 보이다 지난해 크게 반등26.5%한 뒤 지난해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지난해 귀촌 가구는 31만8769가구로 전년보다 12.3%4만4628가구 감소했다. 귀촌인 규모는 42만1106명으로 전년보다 15%7만4552명 줄었다. 귀촌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1.32명으로 전년1.36명보다 0.04명 감소했다. 평균 가구원 수는 꾸준히 감소 추세다.
1인 가구 형태의 귀촌이 가장 비중이 컸는데, 전년보다 2.4%포인트 늘어난 77.6%24만7468가구로 집계됐다. 2인 가구는 15.3%4만8912가구를 차지했다. 귀촌인의 평균 연령은 43.4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다. 귀촌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45.7세로 전년45.2세보다 0.5세 많아졌다. 연령별 비중을 보면 20대 이하 가구주가 21.1%6만7324가구로 전년보다 13.7%포인트 감소했다. 가구주의 성별은 남자가 60.3%, 여자가 39.7%를 차지했다.

귀촌 가구의 주요 전입 사유는 직업34.7%, 주택24.7%, 가족23.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을 이유로 귀촌한 가구는 5.4%였다. 귀촌 전 거주한 지역은 경기25.1%가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14.0%, 경남7.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동한 귀촌인의 구성비가 43.2%18만2325명를 차지했다.

지난해 귀어 가구는 951가구로 전년보다 16.2%184가구 줄었고, 귀어 가구원은 1256명으로 16.1%241명 감소했다. 귀어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53.4세였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72
어제
913
최대
2,563
전체
421,42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