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50% "집값 고점"…5년 뒤 구입희망 32.1%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2030세대 50% "집값 고점"…5년 뒤 구입희망 32.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24-04-17 09:02

본문

뉴스 기사
2024 신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20·30대의 절반은 올해 집값이 고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30세대 부동산 구입 의향자 중 다수는 2년 이후 시점에 구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신한은행이 공개한 2024 신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2030 응답자의 50.5%는 올해 집값이 고점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점이란 응답은 24.6%, 적당하다는 응답은 24.9%로 이에 미치지 못했다.

2030세대 50% quot;집값 고점quot;…5년 뒤 구입희망 32.1%

올해 집 구입과 관련한 인식을 묻는 조사에서도 49.4%는 나쁨이라고 답했고, 보통과 좋음은 각기 36.9%, 13.7%였다. 이는 기성세대인 40·50·60대의 인식과는 상이한 모습이다. 40·50·60대의 경우 올해가 집값 고점이란 인식은 37.5%, 적당은 24.2%에 그쳤던 반면 저점38.3%이란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2030 중 향후 부동산 구입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54.9%에 달했다. 이들은 부동산 구입 희망 시기로 5년 이후32.1%를 가장 많이 지목했다. 이후론 3~5년 이내24.5%, 2~3년 이내19.9%, 1~2년 이내17.0%, 1년 이내6.5% 순이었다. 2030의 향후 2년 내 부동산 구입 목적으론 직접 거주가 71.7%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 가치 상승 등 투자24.7%, 증여·상속 2.1%, 사업상 필요1.3%가 뒤를 이었다.


2030 중 최근 3년 내 자가 구입률은 9%였다. 이들 중 거주 주택의 가치가 상승한 응답자는 58.0%이었고, 하락은 27.0%, 유지는 15.0%였다. 첫 자가 보유 비율은 20대가 92%, 30대가 80%로 최근 3년 내 자가를 구입한 2030중 대부분이 첫 내 집을 마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의 자가 구입 비용 내 대출, 부모 등의 지원 비중을 보면 70~90% 미만이 30.2%로 가장 많았고 50~70% 미만26.0%, 90% 이상18.2%, 20% 미만16.7%, 20~50% 미만8.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중 대출상황이 부담된다고 답한 응답자는 67.5%에 달했다.


2030자가 구입자의 월평균 총소득은 579만원, 소득 내 부채상환 비중은 22%127만원에 달했다. 전체 2030의 월평균 총소득이 424만원, 소득 내 부채상환 비중이 10%42만원에 머무른 것을 고려하면 또래 대비 2.2배에 달하는 금액을 부채상환에 쓰고 있는 셈이었다.


전·월세 거주자의 주택계획에선 전세 사기에 따른 영향이 뚜렷했다. 2030 전·월세 거주자의 거주 형태를 보면 전세는 4%포인트 줄어든 50.0%, 월세는 4%포인트 증가한 50.0%이었다. 40~60대에선 전세가 0.7%포인트 늘어난 56.4%, 월세가 0.7%포인트 줄어든 43.6%로 차이를 보였다.


전세 거주자의 주택 유형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났다. 2030 전세 거주자의 경우 아파트 거주 비중은 6.2%포인트 늘어난 50.9%, 빌라·다세대 비중은 5.5%포인트 줄어든 28.0%이었던 반면, 40~60대는 아파트 비중은 1.0%포인트 줄어든 66.8%, 빌라·다세대 비중은 0.6%포인트 늘어난 21.5%였다.


또 월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73.9%는 계약 만기 시 월세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월세를 유지하는 이유에 대한 세대별 응답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2030은 전세 사기 우려가 30.2%로 가장 높았던 반면 40~60대는 비싼 전세보증금 이란 응답이 41.4%로 가장 많았다.


신한은행은 "월세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응답자 중 40대 이상은 비싼 전세보증금을 이유로 꼽았지만, 20·30대는 전세 사기를 가장 우려했다"면서 "이는 상대적으로 부동산 제도에 미숙하고 전세 사기 피해가 집중된 젊은 세대에서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관련기사]
호텔서 아침맞은 부부, 갑자기 문열고 들어온 남성에 화들짝
"수영복 입고 뛰라는 건가" 속옷조차 가리기 어려운 女경기복 논란
"대마 할 때 됐다며 유아인이 권유"…유아인측 "사실 아냐"
프레시백 수거하려던 쿠팡맨, 한가득 담긴 쓰레기에 탄식
"산수 못하는 사람만 노렸나" 단품 합계보다 비싼 세트메뉴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요즘 애들이 사는Liveamp;Buy 방법, 청춘 보고서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49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96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