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호성 기아 사장 "BYD, 렌터카로 갈 것…中보다 전기차 우위"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송호성 기아 사장 "BYD, 렌터카로 갈 것…中보다 전기차 우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2-27 17:03 조회 13 댓글 0

본문

- [스페인 타라고나 2025 기아 EV 데이]
- "중국 전기차 상륙·캐즘…EV 대중화 모델로 돌파"
- "EV4·EV2 통해 전기차 국내 유럽서 양산"
- 목적기반차량 비즈니스 본격 전개도 예고
[타라고나스페인=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중국 브랜드와 경쟁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라는 상황이 닥쳤지만, 전기차는 가지 않을 수 없는 길입니다. 대중형 모델을 통해 전기차 시대를 이끌겠습니다.”

송호성 기아 사장 quot;BYD, 렌터카로 갈 것…中보다 전기차 우위quot;
송호성 기아 사장오른쪽이 24일현지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에서 국내 미디어와 만나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기아
송호성 기아 사장은 24일현지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에서 국내 및 글로벌 미디어와 만나 이같이 밝혔다.

송 사장은 “남미 시장에서는 중국 브랜드 점유율이 이미 25~30%까지 올라왔고 중동에서도 중국 브랜드가 득세하고 있다”며 “기아가 중국 브랜드와의 가격 차이를 극복해 낼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또 “한국에서 BYD 아토 3는 렌터카나 고비용 채널 쪽으로 들어올 것으로 생각한다”며 “일반 시장에서는 EV3, EV4 등으로 대응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다행히 지금 기아의 존재감은 중국 브랜드의 위협을 받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서비스 네트워크나 퀄리티, 고객 경험에서 더 우위에 있다”고 말했다.

송 사장은 세계적인 전기차 캐즘 상황에서도 기아의 전동화 전환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전기차 수요 예측이 조금씩 늦어지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면서도 “초기 예측보다 성장 속도가 다소 느려졌지만 기본적으로 가야 할 방향임은 분명하다”고 언급했다.

기아는 대량 생산을 통해 정체한 전기차 수요를 돌파하고 보다 넓은 소비자층을 공략할 전략이다. 송 사장은 “EV9과 EV6가 고급 모델이었다면 이제는 EV5, EV3, EV2 같은 대중 모델을 통해 시장을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제는 대중으로 소비자가 넘어가기 때문에 이 소지바층을 겨냥해 이미 2020년 계획한 개발 일정에 따라 하나씩 도입 중”이라고 강조했다.

PS25022701756.jpg
송호성 기아 사장이 24일현지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에서 EV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기아
기아는 EV4를 국내와 유럽, 북미 등에서 연간 16만대 판매하며 전기차 대중화를 이끈다는 계획이다. 송 사장은 “EV4를 한국과 유럽에서 생산할 것”이라며 “2030년에 기아 전기차 물량이 전체 물량의 37%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전기차 생산 속도 조절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송 사장은 “광명 EVO 플랜트는 EV3와 EV4 등 양산 모델을 생산하고 있어 15만대를 생산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다른 공장의 경우 혼류 체계이기 때문에 전기차 전환 속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유연한 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제조사처럼 투자를 한다고 했다가 멈추는 일은 저희에게 없을 것”이라고 했다.

올해부터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전기차 양산을 시작하는 데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그는 “유럽은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며 “슬로바키아 공장을 유럽 전동화 속도에 따라 전기차 중심으로 만들어 가는 게 우선이며 연 35만대 생산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시를 앞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사업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드러냈다. 송 사장은 “PBV는 새로운 게임 체인저”라며 “기존의 개조 차량은 비효율적이고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데 우리는 전용 공장을 운영하며 PBV 생산을 최적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 사장은 “PBV는 2030년 25만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경상용차LCV 전기차 시장에서 20%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라고 했다.

▶ 관련기사 ◀
☞ 난방비 폭탄 고지서에 충격…3월도 만만치 않다
☞ "월 521만원 벌면 391만원 나갑니다"…답답한 현실
☞ ‘99억 건물주 김나영, ‘29억 한남동 오피스텔 또 샀다[누구집]
☞ 조영구 영구크린 두 번째 도전도 결국…상장 무산
☞ ‘직원 출산하면 1억 통 큰 부영 회장님, 결국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이다원 dani@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