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낳으면 커리어 꼬여" 여성의 걱정…韓 출산율 40% 낮췄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애 낳으면 커리어 꼬여" 여성의 걱정…韓 출산율 40% 낮췄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7회 작성일 24-04-16 12:01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서울=뉴스1 이동해 기자 = 12일 서울 중구 서울역에서 한 아이와 부모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제공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을 40% 낮춘 요인으로 청년30~34세 여성이 그동안 경험한 고용상 출산 페널티child penalty가 지목됐다.

자녀가 없으면 남녀간 고용 격차가 나지 않지만 아이를 낳으면 "커리어가 꼬인다"는 여성의 걱정이 출산을 기피하게 했단 분석이다. 또 여성이 출산을 포기하면 경력단절 확률이 14%포인트p나 내려갔지만 반대의 경우 장기적으로 소득이 약 70% 줄었다.


아이 안 낳은 女 청년, 男 고용률과 비슷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6일 발표한 여성의 경력단절 우려와 출산율 감소 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의 낮은 출산율은 여성에게 육아 부담이 집중된 가운데 일·가정을 양립하기 어려운 상황이 개선되지 않아 여성이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출산율이 저조한 국가 중 하나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 이후 매년 약 0.07명씩 감소, 2023년 현재 0.72명을 기록했다. 반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합계출산율은 2015~2021년 기간 1.68명에서 1.58명으로 매년 약 0.017명 감소하는 데 그쳤다.


KDI는 최근2013~2019년 무자녀 여성의 비중이 높은 청년 여성의 성별 고용률 격차 감소가 출산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여성이 주로 출산을 경험하는 만 30~34세 청년세대의 성별 고용률 격차는 작은 편이다. 자녀가 없는 상황에선 남녀 간 고용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이다.

반대로 아이를 낳으면 여성은 고용상 불이익을 받는단 얘기다. 청년 여성이 경험한 이러한 출산페널티가 출산율을 40%나 낮췄다. 아직 자녀가 없는 여성이 경험한 성별 고용률 격차 축소, 자녀 유무에 따른 경력단절 가능성이 출산을 포기하도록 한 것이다.


출산 포기하면 경력단절률 14%p 뚝, 소득 66% 쑥


본문이미지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 14일 오후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23 인천베이비페어를 찾은 관람객들이 영유아 응급처치법을 체험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제공

출산 여성이 겪을 경제적 불이익도 출산을 포기하는 요인이다. 유자녀 여성의 경우 출산 이후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아짐에 따라 장기적으로 소득이 66%가량 감소하지만 유자녀 남성의 경우에는 출산 이후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과적으론 여성의 입장에선 출산을 포기하는 게 합리적인 선택인 셈이다.

KDI는 "2023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30대 무자녀 여성이 출산을 포기하고 무자녀 상태를 지속하는 선택을 할 경우 경력단절 확률을 최소 14%p이상 줄일 수 있다"면서 "경력단절에 따른 인적자본 훼손과 경력단절 없이 커리어를 지속함에 따라 기대되는 임금 상승을 감안하면 개인의 평생 소득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여성이 출산하더라도 경제적 불이익을 받지 않는 사회일수록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소득·출산율이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양질의 보육 서비스가 제공되고 남성이 동등하게 육아와 가사를 분담하면 여성이 출산을 거부할 확률이 낮아진다고 봤다.

이러한 분석은 우리나라의 현실과도 무관치 않다. 2000년대 이후 OECD 고소득 국가들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 짙지만 한국은 2010년대 이후 소득 수준이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졌는데도 출산율이 하락했다.

KDI는 여성에게 출산과 육아의 부담이 과도하게 쏠려 있는 환경에선 여성이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한국은 남성의 가사 참여도가 일본과 튀르키예 다음으로 낮다.

KDI는 "육아기 부모의 시간 제약을 완화할 수 있는 △재택·단축 근무 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보조금 정책의 확대 △남성의 영유아 교육·보육 비중 확대를 통한 여성의 비대칭적 육아부담 경감 등을 통해 유자녀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을 낮추고 이들이 직면한 출산·육아 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유영재, 여성 팬들과 밤 늦게 술자리…선우은숙이 이혼한 진짜 이유"
"남편 몰래 빚 갚는데 전재산 쓴 ADHD 아내…남은 돈 6만원"
"두번째 남편도 때린다" 사연에…서장훈이 지적한 원인
[단독]워터밤 여신 권은비, 24억원에 송정동 주택 매입
"같이 여행 가요" 남편에 문자 보낸 여직원…해명 요구했더니
윤 대통령 "올바른 방향잡고 최선 다했지만 국민 기대 못 미쳤다"
"선생님 결혼식 축가 부르고 뷔페 먹으면 민폐?"…씁쓸한 사연
"돈이 녹아내린다" 개미들 비명…환율 치솟자 떠나는 외국인
이게 2인분 4만원짜리 닭갈비?…양 어떻길래 "이 정도면 떡볶이"
양육비로 벤츠 산 엄마, "돈 없어" 차에서 아들 재웠다…아동학대 실형
"몸이 안 좋아" 병원 아무리 가봐도 이상없음…진짜 이유 따로 있었다
추적 당하는 줄도 모르고…또 여학생 뒤 몰래 찍으려다 현장 체포
남자들 들락날락 수상한 옆집…알고보니 성매매 오피스텔
"두 번 이혼은 싫어" 파혼설 김슬기, ♥유현철과 상담 중 눈물 펑펑
햄 빼면 2000원 추가 그 김밥집 "비난 받을 줄 몰랐다"…SNS 폐쇄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21
어제
871
최대
2,563
전체
422,34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