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검단에 실수요 다 뺏겨"…인천 부촌의 집값의 끝모를 추락, 이유 보...
페이지 정보

본문
송도 12억원대 아파트
3년 사이 5억원대로 뚝
공급과잉·GTX-B 지연 여파
3년 사이 5억원대로 뚝
공급과잉·GTX-B 지연 여파

‘인천의 강남’으로 불리는 인천 송도 집값이 추락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대단지 신축 아파트에서조차 고점 대비 반 토막 수준의 거래들이 속출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5일 부동산 정보업체 아실아파트 실거래가에 따르면 인천 연수구 송도동 더샵송도마리나베이2020년 입주·약 3100가구 전용 84㎡가 지난 14일 5억7000만원에 매매거래됐다. 최고가를 찍었던 2022년 2월12억4500만원보다 무려 6억7500만원54% 하락한 수준이다.
특히 인천 송도에서 최근 한 달 동안 해당 단지에서만 전고점 대비 50% 이상 하락한 매매 거래가 3건이나 나왔다. 인근의 송도더샵퍼스트월드 전용 84㎡ 역시 지난 12일 최고가 11억5000만원 대비 40%가량 떨어진 7억원에 손바뀜했다.
‘마피’마이너스 프리미엄가 붙은 급매물도 늘었다. ‘송도자이더스타’작년 12월 입주에는 5000만∼7000만원, ‘힐스테이트레이크 송도4차’오는 7월 입주 예정 분양권 매물에는 7000만원대의 마피가 붙었다.지난 24일 기준 송도동 아파트 매물은 6478개아실 자료로 1년 전5148개보다 25.84%나 늘었는데, 하락세가 이어지자 더 떨어지기 전에 집을 팔려는 집주인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천의 집값은 대출 규제가 시행된 작년 9월부터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송도가 포함된 연수구는 공급과잉으로 신축 아파트마저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연수구에는 지난해 5231가구에 이어 올해도 3774가구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 착공 지연도 시장의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GTX-B노선은 민자 자금 조달, 공사비 상승 등을 이유로 추진이 지지부진항 상태로, 당장 착공을 한다고 해도 당초 계획인 2030년 개통은 사실한 불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여기에 실수요자들이 송도보다 서울 접근성이 좋은 청라·검단 등 인근 신도시를 더욱 선호하는 현상도 집값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일각의 분석도 나온다.
다만, 송도는 일자리와 자족 기능을 갖춰가는 지역이기 때문에 GTX-B노선이 개통되면 집값이 제자리를 찾아갈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스타벅스, 매출부진에 인력 1100명 감축…2018년 이후 처음 25.02.25
- 다음글月34만원 기초연금 대상, 노인 70%→중위소득 50%로 바꿔야 25.02.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