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씨엠, 중국산 도금·컬러강판 반덤핑 제소
페이지 정보

본문
동국씨엠이 27일 건축용 중국산 도금·컬러 강판에 대한 반덤핑 제소에 나선다고 밝혔다. 중국산 저가형 도금·컬러 강판의 무분별한 국내 유입으로 인해 내수 시장 가격이 왜곡되고 고급화를 추진 중인 국내 업계 발전이 저해되고 있다는 이유다.
동국씨엠은 세아씨엠 등 국내 동종사들과 세부 조율 과정을 거쳐 오는 3월 제소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늦어도 올 상반기부터 반덤핑 제소의 실효적 규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제소를 빠르게 추진할 방침이다.
한국 내수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연 280만t 수준이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3조원 규모다. 그중 수입 제품은 지난해 기준 100만t으로 중국산이 90%를 차지한다. 지난해 내수 전체 수요 물량 중 중국산 비중은 41%까지 늘었다.
건축용 도금·컬러 강판 저가재는 단색 샌드위치 패널로 공장·창고에 쓰인다. 고가재는 디자인과 기능을 갖춰 지붕·내벽·외벽·간판 등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된다.
동국씨엠, 세아씨엠 등 한국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고급화와 차별화를 주도하고 있다. 국내 최초 프리미엄 건축용 컬러강판 브랜드 럭스틸Luxteel이 대표적이다.
동국씨엠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고급 브랜드로 타국 철강사와 경쟁하며 성장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수 시장이 저가 중국산 난립으로 다시 저가재 수준으로 퇴보하고 있다"면서 "무역 규제를 통한 시장 방어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저가 중국산 수입량이 늘면서 지난해 동국씨엠 내수 기준 영업이익은 건축용 도금강판 부문에서 전년 대비 84% 급감했으며, 건축용 컬러강판 부문도 24% 감소했다.
관련 업계에선 앞서 제소된 열연강판에 먼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중국에서 최소한의 단순 후가공을 거친 열연강판을 도금·컬러 강판류로 둔갑해 우회 수출하는 물량이 급증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고 있다.
동국씨엠 관계자는 "최종 철강 제품부터 단계적 무역 규제를 적용해 주변국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철강 업계 동반 생존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지성 기자]
▶ “많이 기다리셨다”…‘4년만에 중대결심’ 장윤정 도경완이 전한 또 다른 소식
▶ 재산 절반 내놓겠다더니…벌써 1천억 기부한 ‘이 남자’의 진심
▶ 3월 ‘이재명 2심 선고’…박지원 “무죄거나 벌금 80만원일 것”
▶ “尹 돌아와” 석달 만에 브리핑 재개한 대통령실
▶ 담요 덮은 비행기 옆자리 승객은 시체…악몽같은 해외여행, 항공사 대처 논란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동국씨엠은 세아씨엠 등 국내 동종사들과 세부 조율 과정을 거쳐 오는 3월 제소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늦어도 올 상반기부터 반덤핑 제소의 실효적 규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제소를 빠르게 추진할 방침이다.
한국 내수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연 280만t 수준이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3조원 규모다. 그중 수입 제품은 지난해 기준 100만t으로 중국산이 90%를 차지한다. 지난해 내수 전체 수요 물량 중 중국산 비중은 41%까지 늘었다.
건축용 도금·컬러 강판 저가재는 단색 샌드위치 패널로 공장·창고에 쓰인다. 고가재는 디자인과 기능을 갖춰 지붕·내벽·외벽·간판 등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된다.
동국씨엠, 세아씨엠 등 한국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고급화와 차별화를 주도하고 있다. 국내 최초 프리미엄 건축용 컬러강판 브랜드 럭스틸Luxteel이 대표적이다.
동국씨엠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고급 브랜드로 타국 철강사와 경쟁하며 성장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수 시장이 저가 중국산 난립으로 다시 저가재 수준으로 퇴보하고 있다"면서 "무역 규제를 통한 시장 방어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저가 중국산 수입량이 늘면서 지난해 동국씨엠 내수 기준 영업이익은 건축용 도금강판 부문에서 전년 대비 84% 급감했으며, 건축용 컬러강판 부문도 24% 감소했다.
관련 업계에선 앞서 제소된 열연강판에 먼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중국에서 최소한의 단순 후가공을 거친 열연강판을 도금·컬러 강판류로 둔갑해 우회 수출하는 물량이 급증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하고 있다.
동국씨엠 관계자는 "최종 철강 제품부터 단계적 무역 규제를 적용해 주변국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철강 업계 동반 생존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지성 기자]
▶ “많이 기다리셨다”…‘4년만에 중대결심’ 장윤정 도경완이 전한 또 다른 소식
▶ 재산 절반 내놓겠다더니…벌써 1천억 기부한 ‘이 남자’의 진심
▶ 3월 ‘이재명 2심 선고’…박지원 “무죄거나 벌금 80만원일 것”
▶ “尹 돌아와” 석달 만에 브리핑 재개한 대통령실
▶ 담요 덮은 비행기 옆자리 승객은 시체…악몽같은 해외여행, 항공사 대처 논란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반려동물 봄철 진드기 조심해야"…세레스토 정품 사용 캠페인 25.02.27
- 다음글"북미 주방·욕실 시장 잡자" 건자재업계 맞춤 제품 출시 25.02.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