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목욕간호 재가서비스 한곳에서 받는다…3월부터 190개소 운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2-27 17:26 조회 11 댓글 0본문
건보공단, 장기요양 통합재가서비스 본격 운영
![]() |
▲ 국민건강보험공단 전경 사진=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
[메디컬투데이=김미경 기자] 노인 등 장기요양 수급자가 주·야간보호, 방문요양, 목욕, 간호 등 재가서비스를 한 기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통합서비스가 내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5년 3월부터 장기요양 통합재가서비스를 본격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통합재가서비스는 하나의 기관에서 수급자의 욕구상태에 따라 주·야간보호, 방문요양, 목욕, 간호 등 다양한 재가서비스를 간호사, 물리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등의 전문인력이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장기요양 수급자가 잔존능력을 유지하면서 본인이 살던 곳에서 계속 생활하기 위해서는 주·야간보호,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등 다양한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기준 재가수급자의 79.6%가 하나의 급여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있어 재가생활 유지에 걸림돌이 돼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통합재가서비스는 수급자에게 필요하고 기능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유의미한 결과 도출로 그간의 사업운영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됐고, 2024년 1월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개정을 통해 본격 시행의 근거가 마련됐다.
이후 공단은 1년여 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지난 1월 21일부터 2월 7일까지 사업설명회 및 참여기관 공모를 진행했고 최종 190개소가 참여 예정이며, 올 하반기 다시 한 번 공모를 진행할 계획이다.
통합재가서비스 제공기관은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공단은 그간 장기요양보험 수급자에 대한 장기요양 서비스 강화 및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 가정에서 충분히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통합재가서비스의 확산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공단 조귀래 요양기획실장은 “어르신들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 다양한 재가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재가서비스 제공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독, 한국혈액암협회에 헌혈증 450장 기부
▶ 케렌디아 급여 1주년…2형 당뇨병 동반 만성 신장병 치료 환경 향상
▶ HLB 간암신약, ESMO 치료 가이드라인 1차 치료제로 등재
▶ 오디엔, 디지털 치료기기 ‘DT.E66 Plus’ 당뇨병 관리 임상시험 착수
lt;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 건강 신문 ⓒ 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gt;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