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찬바람···서민가구 근로소득 5년 만에 감소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저소득층 찬바람···서민가구 근로소득 5년 만에 감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2-27 16:23 조회 8 댓글 0

본문



지난 3일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골목.  서성일 선임기자

지난 3일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골목. 서성일 선임기자

지난해 4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의 근로소득이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갑은 얇아졌는데 지출이 늘어 적자 살림을 꾸리는 저소득층 가구도 1년 전보다 증가했다. ‘가난한 노인’이 급증한 영향이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 하위 20%1분위가구의 소득은 121만3000원으로 전년대비 3.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계층별로 소득 하위층의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그나마도 연금 등 이전소득75만2000원이 전년대비 7.8% 증가한 영향이 컸다. 사실상 저소득층의 복지 의존도가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소득 하위 20% 가구의 근로소득29만5000원은 4.3% 줄었다. 이들의 근로소득이 줄어든 것은 4분기 기준 2019년-6.2% 이후 5년 만이다. 근로소득이 감소한 건 전 계층에서 소득 하위 20%층이 유일하다. 이들의 근로소득은 지난해 2분기부터 3분기 연속으로 전년대비 감소하고 있다.

소득 하위 20%의 사업소득14만원도 1년 전보다 7.9% 줄어 감소 폭이 전체 가운데 가장 컸다. 소득 상위 20%의 사업소득263만1000원은 1년 전보다 9.8% 늘었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1분위에 고령 가구가 전년보다 많이 늘면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모두 줄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부기 분위별 근로소득 그래픽

지난해 4부기 분위별 근로소득 그래픽

반면, 소득 하위 20% 가구의 지출156만2000원은 전년보다 6.3% 늘었다. 세금 등을 제외한 소비지출은 전년대비 8.0% 늘어난 138만6000원이었다. 전체 소비지출 증가율2.5%의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저소득층의 소비는 생필품 위주로 크게 늘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29만2000원이 1년 새 7.9% 늘었다. 주거·수도·광열27만5000원·10.8%, 음식·숙박17만7000원·10.6% 도 역시 큰 폭으로 올랐다. 고물가 상황에서도 씀씀이를 줄이기 어려운 부문에서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저소득층의 살림살이는 더 팍팍해졌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 뺀 1분위 흑자액#x2013;34만9000원은 전년대비 19.7% 줄었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도 1분위에서는 56.9%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늘었다. 전체 계층에선 적자가구가 1년전보다 0.8%포인트 줄었다.

소득 계층 전체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소득 증가율은 3.8%로 집계됐다. 이 중 고소득층인 5분위 가구의 지난해 4분기 월평균 소득은 1119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3.7% 증가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0.5%, 9.8% 늘었다. 이전소득도 6.4% 증가했다. 고소득층은 소득과 소비 여력이 늘었음에도 가계 지출은 1년 전보다 0.4% 감소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임종석 “이재명 넘어서려는 분들 지지할 생각”···이재명 “운동장 넓게 써야”
· 벗었던 외투, 다음 주엔 다시 입어야겠네…3·1절 연휴 눈·비 후 기온 ‘뚝’
· 탄핵정국에도…인천공항에 ‘낙하산’ 꽂으려는 대통령실
· ‘가십걸’ 배우 미셸 트라첸버그, 39세에 사망
· 홍준표 “한동훈은 윤 대통령이 만든 인형···들어오면 나한테 죽는다”
· ”특수부 검사의 가장 타락한 모습” 보수 논객들이 평가한 윤 최후진술
· 용산과 가까운 경찰 고위직 대거 승진···윤 대통령 입김 반영됐나
· [속보]헌재 “마은혁 불임명, 헌재 구성권 침해”···권한쟁의 일부 인용
· [스팟터뷰] 민주당 법률대변인 “이재명 무죄 확신…검찰개혁은 대선 공약으로”
· [단독]국정원 ‘대치팀’ 18일간 카톡 대화 입수···민간인 사찰에 제한은 없었다[국정원의 위험한 사찰 1]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