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SBS 지분도 내놨지만…건설사들, 상반기만 12조 갚아야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태영,SBS 지분도 내놨지만…건설사들, 상반기만 12조 갚아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4-01-10 03:05

본문

뉴스 기사
[태영 추가 자구안 발표] 부동산 PF發 위기는 여전

뉴스1

뉴스1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 구조 개선 작업’과 관련해 채권단과 금융 당국이 오너의 사재 출연을 요구하자, 태영그룹은 윤석민 회장 등 오너들이 보유한 지주회사 티와이TY홀딩스와 티와이홀딩스가 가진 방송사 SBS 지분을 담보로 제공하겠다는 안을 내놨다. ‘지분 담보’는 당장 지분을 매각해서 자금을 넣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워크아웃 과정에서 태영건설의 자금이 부족해지면, 오너들은 이 지분을 담보로 내놓고 자금을 대출받아 투입하기로 채권단과 합의했다. 이 때문에 지분 담보도 사재 출연과 같은 효력을 갖는다는 것이 채권단의 판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통해 회생하는 것으로 방향이 잡히면서 건설 업계는 한숨 돌리는 분위기다. 하지만 올 상반기 중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만기가 줄줄이 돌아오는 데다 건설 경기 침체도 회복될 기미가 안 보이고 있어 살얼음판 같은 긴장감은 여전하다. PF는 건설사들이 건설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금융회사에서 빌리는 돈인데, 최근 고금리와 공사비 급등으로 착공이 미뤄지면서 PF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픽=박상훈

그래픽=박상훈

◇기존 자구안인 자회사 매각 등으로 1조5000억원 조달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이 시작되면 태영그룹은 자회사 매각, 부실 사업장 정리, 인력 구조 조정 등 본격적인 기업 체질 개선 작업에 돌입하게 된다. 이날 제시한 자구안 중 물류 자회사 태영인더스트리의 매각 대금 1549억원은 이미 태영건설에 투입됐다.

업계가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환경 전문 기업인 자회사 에코비트의 매각이다. 2022년 매출 7560억원, 영업이익 2255억원의 실적을 거둬 ‘알짜’라는 평가를 받는다. 시장에서 평가받는 기업 가치는 2조~3조원에 달한다. 해외 사모 펀드 KKR과 티와이홀딩스가 지분을 절반씩 갖고 있다. 최금락 티와이홀딩스 부회장은 “KKR도 에코비트를 공동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래픽=박상훈

그래픽=박상훈

에코비트 매각 때까지 태영그룹은 우선적으로 다른 자회사 지분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태영건설을 지원할 것으로 관측된다. 골프·레저 자회사 블루원과 농산물 창고업을 하는 평택싸이로가 대상이다. 티와이홀딩스와 그룹 오너 일가가 가진 두 회사의 지분 가치를 더하면 조달 가능한 돈은 200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이 같은 자구안으로 태영그룹이 마련할 수 있는 전체 자금은 1조5000억~1조6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다만 자회사 매각이 지연되거나 매각 대금이 적어 조달 자금이 부족해지면 태영은 오너 일가 소유 티와이홀딩스 및 SBS 지분을 담보로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서게 된다. 태영 관계자는 “4월 이전에 자구안이 충실히 이행되면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걸로 예상하지만 혹시 돈이 부족하면 오너의 지분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영 측은 미디어 계열사인 SBS미디어넷 등 다른 계열사를 활용해 자금을 추가 조달하는 방안도 채권단과 협의 중이다.

◇PF 불안은 여전

태영건설 워크아웃으로 당장 협력사들이 줄도산하는 사태는 막았지만, 건설 업계 위기감은 여전하다. 지난 부동산 호황기에 무리하게 추진했던 건설 현장이 아직 정리되지 않고 있는 데다, 고금리 기조도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부채 비율이 높고 지방 사업장이 많은 일부 중견 건설사 사이에선 “작년보다 올 상반기가 더 큰 고비”라는 말이 나온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작년 9월 말 기준 국내 대표 건설사 16곳이 PF 대출에 대해 보증을 선 금액은 총 28조3000억원으로 2020년 말16조1000억원에 비해 75% 늘었다. 공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건설사들이 고스란히 물어줘야 할 돈이다. 국내 건설사들의 순차입금도 2018년 4000억원, 2021년 1조4000억원에서 작년 9월 10조5000억원으로 급증했다. 한국기업평가가 23개 증권사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 만기가 돌아오는 PF는 11조9000억원에 달한다.

김정주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PF 대출 만기가 연장된 사업장 대부분은 분양 또는 매각에 실패해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들”이라며 “세제 및 금융 지원, 개발 계획 변경 등을 통해 사업성을 최대한 높여주고, 정상화가 어려운 곳은 신속하게 정리해 PF 불안이 거시경제 전반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정순우 기자 snoopy@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31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1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