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초임 연봉 5000만원 이상?…"과하다" vs "이 정도는 받아야" [어떻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2-27 15:07 조회 13 댓글 0본문
최근 우리나라 대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평균 연봉이 5000만원을 넘었다는 보도가 나오자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대기업 신입사원의 연봉이 너무 과하다”, “이 정도 연봉은 받아야 한다” 등 각종 의견이 쏟아졌다.
정말 우리나라 대기업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이 세계 최고 수준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나라 대기업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상위권으로 추정할 수 있다.
2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에 따르면 지난 2023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 정규직 대졸 초임연 임금 총액은 초과급여 제외 시 연 5100만원, 초과급여 포함시 연 5302만원으로 5000만원을 돌파했다.
전체 사업장의 대졸 정규직 초임 평균 3675만원보다 훨씬 많은 액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0대 대기업만 놓고 보면 정규직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더 올라간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등에 따르면 세전 기준으로 정규직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6900만~7000만원 수준, 현대자동차가 5500만~7000만원 수준, LG전자가 6000만~7000만원 수준, LG화학이 6000여만원 수준, 기아가 5500만~7000만원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른 주요국들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업종별로 다를 수 있지만 일반 대기업을 기준으로 할 때 세전 기준으로 미국은 대졸자 평균 연봉이 5만1000여달러7300여만원, 독일이 5만여달러7100여만원, 프랑스가 3만3000여달러4700여만원 수준이다. 캐나다는 4만2000여달러6000여만원, 영국은 4만5000여달러6400여만원, 호주는 3만6000여달러5100여만원, 싱가포르는 3만여달러4300여만원, 일본은 2만8000여달러4000여만원 정도로 파악된다.
이를 볼 때, 국내 대기업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프랑스 보다 높고, 미국과 독일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기본적인 자료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대기업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전 세계적으로도 상위권에 위치한다.
그렇다면 전 세계 최고의 직장은 어딜까.
지난해 10월 포브스가 발표한 ‘세계 최고의 직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2020년부터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1위와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2위에 밀렸다. 미국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가 4위에 올랐고, BMW그룹과 델타항공, 에어버스, 이케아, 레고그룹, IBM 등이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인공지능AI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AI 반도체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는 22위, 글로벌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는 218위였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LG전자, 서울 코엑스 ‘2025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 ‘라이프집’ 참여
▶ [트럼피즘 한달] 동맹국도 예외 없다…美 우선주의 심화
▶ SK매직, 스포츠 마케팅 본격화^파리 생제르맹 FC 공식 파트너십
▶ [나라경제 좀먹는 미분양 사태] “LH의 매입 일부 긍정적…정교한 선별 뒤따라야”
▶ KISTEP “반도체 기술 수준, 중국에 대부분 추월 당해”
▶ 로봇청소기 신제품 출시한 로보락…보안 우려 딛고 시장 수성할까
▶ SK Camp;C, ‘에이닷 비즈 HR’ 선제 도입 통해 AI 채용 혁신 효과 입증
▶ “자기야, 난 아파트에서 시작하고 싶어”… 30대, 결혼하려고 내집 마련? [뉴스]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 “풉” 尹영상 보던 이재명, ‘웃참’ 실패…“1분 만에 거짓말 들통”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
지난해 10월 포브스가 발표한 ‘세계 최고의 직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2020년부터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연합뉴스 |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나라 대기업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상위권으로 추정할 수 있다.
2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에 따르면 지난 2023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 정규직 대졸 초임연 임금 총액은 초과급여 제외 시 연 5100만원, 초과급여 포함시 연 5302만원으로 5000만원을 돌파했다.
전체 사업장의 대졸 정규직 초임 평균 3675만원보다 훨씬 많은 액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0대 대기업만 놓고 보면 정규직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더 올라간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등에 따르면 세전 기준으로 정규직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6900만~7000만원 수준, 현대자동차가 5500만~7000만원 수준, LG전자가 6000만~7000만원 수준, LG화학이 6000여만원 수준, 기아가 5500만~7000만원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른 주요국들의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업종별로 다를 수 있지만 일반 대기업을 기준으로 할 때 세전 기준으로 미국은 대졸자 평균 연봉이 5만1000여달러7300여만원, 독일이 5만여달러7100여만원, 프랑스가 3만3000여달러4700여만원 수준이다. 캐나다는 4만2000여달러6000여만원, 영국은 4만5000여달러6400여만원, 호주는 3만6000여달러5100여만원, 싱가포르는 3만여달러4300여만원, 일본은 2만8000여달러4000여만원 정도로 파악된다.
![]() |
지난 202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 정규직 대졸 초임연 임금 총액은 연 5000만원을 돌파했다. 연합뉴스 |
그렇다면 전 세계 최고의 직장은 어딜까.
지난해 10월 포브스가 발표한 ‘세계 최고의 직장’ 평가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2020년부터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1위와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2위에 밀렸다. 미국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가 4위에 올랐고, BMW그룹과 델타항공, 에어버스, 이케아, 레고그룹, IBM 등이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인공지능AI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AI 반도체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는 22위, 글로벌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는 218위였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LG전자, 서울 코엑스 ‘2025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 ‘라이프집’ 참여
▶ [트럼피즘 한달] 동맹국도 예외 없다…美 우선주의 심화
▶ SK매직, 스포츠 마케팅 본격화^파리 생제르맹 FC 공식 파트너십
▶ [나라경제 좀먹는 미분양 사태] “LH의 매입 일부 긍정적…정교한 선별 뒤따라야”
▶ KISTEP “반도체 기술 수준, 중국에 대부분 추월 당해”
▶ 로봇청소기 신제품 출시한 로보락…보안 우려 딛고 시장 수성할까
▶ SK Camp;C, ‘에이닷 비즈 HR’ 선제 도입 통해 AI 채용 혁신 효과 입증
▶ “자기야, 난 아파트에서 시작하고 싶어”… 30대, 결혼하려고 내집 마련? [뉴스]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 “풉” 尹영상 보던 이재명, ‘웃참’ 실패…“1분 만에 거짓말 들통”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