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가진 무주택자 이렇게 많나"…서울 청약가점 53점, 경쟁률 58대1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10억가진 무주택자 이렇게 많나"…서울 청약가점 53점, 경쟁률 58대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9회 작성일 23-12-25 05:57

본문

뉴스 기사
강남 알짜에만 몰리는 양극화 기조 심화될듯
서울아파트 청약 합격선 전년보다 12점 올라
청약 경쟁률 최고 10개 단지 모두 수도권서
비수도권서 청약 신청 ‘0명’인 단지 속출도


◆ 분양시장 전망 ◆

quot;10억가진 무주택자 이렇게 많나quot;…서울 청약가점 53점, 경쟁률 58대1


올해 청약 시장은 서울을 중심으로 경쟁률이 치솟으면서 평균 가점도 올라갔다. 하지만 지방은 청약 신청자가 1명도 없는 곳이 속출하면서 청약 시장도 뚜렷한 ‘양극화’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내년에 전체적으로 아파트 분양가가 상승하는 가운데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알짜 물량에는 사람들이 몰리고 그 외 지역은 고전하는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실수요자들은 ‘똘똘한 한 채’를 잡기 위해 옥석 가리기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의 아파트 청약 당첨 가점 합격선은 작년보다 12점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이달 19일까지 청약을 진행한 서울 아파트의 평균 최저 당첨 가점은 53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40.9점보다 12.1점 오른 점수다.

청약 가점은 84점 만점으로 무주택 기간최고 32점과 부양가족35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17점 등에 따라 산정된다. 올해 서울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려면 무주택 기간 10년22점 이상, 부양가족 3명20점 이상, 통장 가입 기간 9년11점 이상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는 뜻이다.

전매제한 기간 단축, 1주택자의 기존 주택 처분 의무 폐지 등 청약 관련 규제가 완화하면서 청약자 수가 늘어나면서 경쟁률도 올라갔고 가점 합격선도 작년보다 상승했다.

청약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는 작년보다 28% 이상 뛰며 10억원을 돌파했다. 올해 서울 청약 아파트의 분양가는 평균 10억3481만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평균 분양가가 8억595만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1년 새 28.4% 급등했다.

전국 기준으로 보면 올해 청약 아파트 분양가는 평균 6억8159만원으로 지난해5억9158만원보다 15.2% 올랐다. 철근·시멘트 등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노임를 비롯한 공사비 상승세가 지속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양가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전국의 일반공급 아파트 물량은 9만3992가구, 1순위 청약자 수는 108만1869명으로 집계됐다. 1순위 경쟁률은 11.5대 1로 지난해8.2대 1보다 상승했다.

서울 쏠림은 심화했다. 2022년 서울 지역 1순위 일반공급 대비 청약 1순위 경쟁률은 10대 1이었지만, 올해는 58대 1이었다. 수도권도 8.1대 1에서 14.3대 1로 경쟁률이 상승했다. 다만 5대 광역시는 9.1대 1에서 6.3대 1로 하락했다.

경쟁률이 높은 지역은 수도권이었다. 청약 경쟁률 최고 10개 단지는 모두 수도권에서 나왔다. 지난해 상위 10개 단지가 수도권 외에도 세종과 부산, 대전 등으로 분산됐던 것과는 다른 결과다. 아울러 올해 상위 10개 단지 가운데 1위와 2위를 포함한 7개가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였다.

1위는 지난 10월 분양된 ‘동탄레이크파크 자연앤 e편한세상’민영주택으로 일반공급 279가구에 10만5179명이 몰리며 37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단지의 국민주택은 101.3대 1로 10위였다. 이어 ‘운정3 제일풍경채 A46BL’이 42가구 모집에 1만5609명을 모아 경쟁률 371.6대 1로 2위를 차지했다. ‘용산 호반써밋 에디이션’162.7대 1,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152.6대 1, ‘검단신도시 롯데캐슬 넥스티엘’111.5대 1, ‘파주 운정신도시 우미 린 더 센텀’108.8대 1 등은 모두 분양가 상한제 단지였다.

하지만 경남·전남 등 비수도권에서는 1명도 청약 신청하지 않은 단지가 속출했다.

내년에는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알짜 입지’ 청약에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높아진 분양가를 감당하기 힘든 비수도권에서는 청약 흥행이 어려울 전망이다. 똘똘한 한 채로 수요가 쏠리면서 옥석 가리기가 더욱 중요해진다는 뜻이다.

두성규 목민경제정책연구소 대표는 “신축 주택의 청약은 당첨만 된다면 가장 저렴하게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분양가 상한제 적용 주택은 요즘처럼 고분양가 시대에 더욱 주목받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두 대표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이 강남 3구와 용산구로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서민이나 무주택자의 선택지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서민 실수요자들은 도심 정비 사업을 통해 나오는 신축 청약을 눈여겨보면 좋다”고 조언했다.

서울 이곳 아파트값 무섭게 떨어지네…줄줄이 반토막, 영끌족 ‘멘붕’

경복궁 낙서 지시한 ‘이 팀장’…월급 1000만원 취업 제안도 했었다

“동작구도 터졌다”…성탄절 로또 1등 잭팟 29.6억씩, 자동 7명·수동 2명

“내 아내가 자전거 동호회에서 만난 남자와”…크리스마스 이브에도 불륜 행각

우리 엄마 영끌하게 만든 이 회사…1조3천억 끌어 모아 3년만에 IPO 실적 1위 탈환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04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37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