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못산 사람은 이것 사라고?"…급등하는 금속주 뭔가 보니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금 못산 사람은 이것 사라고?"…급등하는 금속주 뭔가 보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4-04-15 20:34

본문

뉴스 기사
알루미늄株 9% 가까이 상승
美, 러시아산 수입 금지 한몫

원유선물은 0.72% 소폭 하락




이란과 이스라엘 간 무력 충돌로 원유를 비롯한 주요 원자재 가격이 들썩이면서 관련주들에 대한 추격 매수에 나서도 될지를 놓고 투자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15일 국내 증시에서는 원유와 주요 금속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강세 마감했다.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원유선물H’ 는 직전 거래일보다 0.72 % 떨어져 거래를 마쳤다.

반면 주요 금속 선물에 투자하는 ‘TIGER금속선물H’ 은 이날 1.86% 상승 마감했다. 해당 종목은 구리와 알루미늄, 니켈 등 산업용 금속 선물이 투자 대상이다. 특히 알루미늄 관련주인 조일알미늄이 8.99% 올랐고 남선알미늄은 5.49%, 알루코는 3.66% 상승했다.

구리 관련주로는 KBI메탈이 이날 상한가를 달성하며 전날보다 489원 오른 2130원을 기록했다. 이밖에 가온전선과 대원전선 등 주가도 이달 들어서만 50% 이상 뛴 상태다.

news-p.v1.20240415.3a8fdb3488be48139a89eaa47fe5bdba_P1.jpg

이달 1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소재 이란 영사관 피격사건을 계기로 중동 정세 불안이 고조되자 투자자들은 원유와 금속 등 상품 뿐 아니라 글로벌 대형 석유 기업과 금속 채굴 기업 등 관련주 매수에 나서는 분위기다.

15일 한국 예탁결제원 집계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간 이후 이날까지 기준으로 미국 대형 석유기업에 투자하는 ETF 인 ‘에너지 셀렉트 섹터 SPDR’ XLE는 국내 투자자들의 순매수 23위555만달러·약 77억원종목으로 이름을 올렸다. 해당 종목은 올해 첫 거래일부터 이달 첫째 주간까지만 해도 순매수 50위 내에는 들지 못했지만 유가가 고공행진하자 매수 관심을 끈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 핵심 소재인 알루미늄도 국제 정세 영향으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알루미늄 가격이 1987년 거래가 시작된 이후 가장 큰 폭인 9.4% 올랐다.

미국과 영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 전쟁을 2년 넘게 진행 중 러시아의 자금줄을 압박하기 위해 러시아산 알루미늄과 구리, 니켈 등의 수입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전 세계 알루미늄의 5%를 생산한다.

구리는 러시아산 금속 제재와 별개로 이미 올해 들어서만 10% 이상 가격이 올랐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회복되면서 구리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전선의 주재료 이기도해서 인공지능AI산업 발전에 따라 전력 수요가 증가한 것도 상방 변수다.

news-p.v1.20240415.7e05c3d8e1c8467aa8d4a05e52faae9e_P1.png

다만 글로벌 상품 시장 전문가들은 특히 원유와 관련한 추격 매수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원유 선물 가격에 ‘제 5차 중동 전쟁’가능성에 대한 위험 요소가 일정 부분 선반영됐다고 분석하면서 오히려 유가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한다는 지적을 내고 있다.

무역데이터업체 케이플러의 빅터 케이터너 연구원은 “이란과 이스라엘 간 충돌은 오히려 유가 약세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시장이 양 측간 충돌이 제3차 세계대전으로까지 번질 가능성을 어느 정도 반영한 데다 지난 주말 이란이 이스라엘에 대한 보복이 일단락됐다고 언급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유가가 약간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에너지컨설팅업체 에너지애스팩츠의 암리타 센 연구원은 “이번 주 초 아시아 선물시장에서 석유·천연가스 가격이 단기 급등할 수 있지만, 현재 중동 정세가 원유 공급 차질을 야기하지만 않는다면 투자자들은 유가 하방 리스크를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덴마크계 투자은행인 삭소뱅크의 올레 한센 에너지 담당 연구원 역시 “앞으로 국제 유가 상승 정도는 이란 주변 정세 변화에 달려 있겠지만 중동 리스크 프리미엄위험 비용이 이미 현재 유가에 상당 부분 반영된 상태”라고 밝혔다.

자매로 태어나 남매로 함께 떠났다…‘세계 최고령’ 62세 샴쌍둥이 사망

“울엄마 어떡해요” 청약 대박나더니 가격 폭락…설상가상 2천억 매물 또 풀린다

“수리비가 125만원?”…아이폰 박살낸 유명 배우, 꼬리 내린 애플

"전셋값 밑으로도 안팔려" 무너지는 빌라

“내자식 어떻게 살라고”...월급 40% 넘게 연금으로 내야한다는데, 무슨 일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63
어제
913
최대
2,563
전체
421,51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