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크 없고 분노만…2011년 美 강등 후폭풍과는 달랐다 [美 신용등급 강등...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쇼크 없고 분노만…2011년 美 강등 후폭풍과는 달랐다 [美 신용등급 강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2회 작성일 23-08-03 09:27

본문

뉴스 기사
피치발 강등에 뉴욕증시 하락, 국채금리는 상승
워싱턴은 격노…뉴욕은 무시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쇼크 없고 분노만…2011년 美 강등 후폭풍과는 달랐다 [美 신용등급 강등]

사진=로이터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 국가신용등을 강등한 다음날인 2일현지시간 미국 정부는 피치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전날에 이어 피치의 결정이 잘못됐음을 강조하며 미국 경제의 안정성을 집중 부각시켰다.

신용등급 강등으로 뉴욕증시는 하락하고 채권금리는 급등했지만 월가에선 피치의 등급 강등 영향이 아니라고 해석했다.
증시 하락…채권금리는 상승
이날 다우지수는 전일보다 0.98% 하락했으며 Samp;P 500지수는 1.38% 떨어졌다. 나스닥지수 하락폭은 2.17%로 상대적으로 컸다.

2011년 Samp;P가 미국 신용등급을 하향조정을 했을 때보다 변동성이 작았다. 2011년 8월 5일 금요일 장 마감 후 강등 발표가 나온 뒤 첫 거래일인 8일 월요일에 Samp;P 500 지수는 6% 이상 급락했다. 이후 한 달여간 10% 이상 떨어졌다.

국채금리는 혼조세를 보였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날보다 5bp가량 오른 4.088%로 마감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연고점을 경신했다. 이에 비해 2년물 국채금리는 2bp가량 떨어진 4.89%에 거래됐다.

월가에선 이날 시장 상황이 피치의 등급 강등 때문이 아니라고 해석했다. 모나 마하잔 에드워드존스 투자 전략가는 "투자자들이 피치의 강등을 이익실현의 근거로 여길 수 있으나 이는 강한 상승 뒤에 나오는 자연스러운 부문"이라고 말했다.

채권시장도 신용등급 강등보다 재무부의 국채 발행 증가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재무부는 3분기에 모든 만기물의 채권 발행량을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미트 메일리 밀러태백앤코 분석가는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장기 채권 금리가 상승한 정도"라며 "기본적으로 국가 신용등급 하락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피치 영향 제한적 전망 많아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 변화가 향후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골드만삭스는 "피치의 결정이 미 국채나 지방정부 채권 등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찰스 슈왑은 "피치는 Samp;P나 무디스보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다"며 "미국은 부채를 상환할 능력이 있고 채무불이행을 할 것이라고 걱정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CEO도 피치발 변수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다이먼 CEO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피치의 결정에 대해 "별로 중요하지 않다"며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몇가지 사안을 지적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만들어 놓은 안정성에 의존하고 있는 캐나다 등의 국가신용등급이 미국보다 높다는 건 웃기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트럼프 탓에 강등"
조 바이든 행정부 관료들은 전날에 이어 피치를 몰아붙였다.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은 이날
버지니아주 맥클린의 국세청IRS을 방문한 자리에서 "피치의 결정에 강하게 반대하며 전적으로 부당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치의 평가는 오류가 있으며 오래된 데이터에 기반했다"며 "지난 2년반 동안 거버넌스 등 관련 지표의 개선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옐런 장관은 "미국 국채가 세계 최고의 안전자산이고 미국 경제가 근본적으로 강력하다는 사실이 피치의 결정으로 바뀌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케빈 무노스 바이든 대선 캠프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책임으로 돌렸다. 무노스 대변인은 NBC 방송에 출연해 이번 강등을 트럼프 강등으로 지칭하며 "이번 트럼프 등급 강등은 극단적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의 트럼프 전 대통령 선거 슬로건 공화당 어젠다의 직접적 결과"라고 쏴붙였다. 이어 "트럼프는 수백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게 했으며, 부자와 대기업에 대한 재앙적 감세로 적자를 확대했다"고 비판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56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56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