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최고·실업률 최저…제조업 취업자 9개월째 감소종합2보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고용률 최고·실업률 최저…제조업 취업자 9개월째 감소종합2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3회 작성일 23-10-13 11:01

본문

뉴스 기사
9월 고용동향…취업자 30만9천명 늘며 석달 만에 30만명대 회복
청년층 취업자 11개월째 감소세…정부 "고용률·실업률, 견조한 흐름 지속될 것"

고용률 최고·실업률 최저…제조업 취업자 9개월째 감소종합2보9월 취업자 30만9천명 증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송정은 기자 = 9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개월 만에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다.

고용률은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고, 실업률은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고용 호조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다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경기가 아직 충분히 회복되지 못한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 폭은 더 확대됐다. 20대 초반을 중심으로 청년층 취업자 감소세도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 등 영향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 호조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제조업 고용 부진을 제약 요인으로 꼽았다.


PYH2023051012530001300_P2.jpg제조업 취업자 감소세
지난 5월 소규모 제조업 공장 밀집 지역인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의 전신주에 인력수급업체 전단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취업자 수 증가폭 석달 만에 다시 30만명대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69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30만9천명 늘었다. 지난 6월 33만3천명 늘어난 뒤로 3개월 만에 다시 30만명대를 회복한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는 2021년 3월부터 31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올 상반기 매달 30만∼40만명대였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7월 21만1천명까지 축소된 뒤 두 달 연속 증가 폭을 키웠다.

보건복지업·숙박음식업·운수창고업 등 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33만5천명 늘면서 전체 고용 호조세를 견인했다.

건설기성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건설업 취업자는 3만6천명 늘며 10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7만2천명 줄면서 지난 4월-9만7천명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9개월째 감소세다.

통계청은 제조업 중에서도 특히 전자부품 제조업에서 취업자 감소 폭이 컸다고 분석했다. 제조업 생산과 수출 회복세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탓에 경기 후행 지표로 해석되는 고용시장에 아직 온기가 돌지 못하는 모습이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지난해 증가 폭이 컸던 것에 따른 기저효과가 조금 있다"라며 "자동차·의료는 증가하는데 금속가공·화학·전자부품 등은 감소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경기 부진 영향으로 부동산업 취업자 수도 3만6천명 줄었다. 2021년 2월-4만7천명 이후 최대폭 감소다.


PYH2023101302270001300_P2.jpg통계청 9월 취업자, 전년보다 30만9천명 증가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9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3.10.13 kjhpress@yna.co.kr

◇ 청년층·40대는 감소…인구 감소 등 구조적 요인 커

연령대별 취업자를 보면 60세 이상에서 35만4천명이 늘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세를 주도했다. 30대와 50대에서도 각각 5만6천명, 4만5천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은 8만9천명 줄어들면서 11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40대도 5만8천명 줄면서 15개월째 감소했다. 연령대별 취업자 수는 인구 증감 영향이 크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종사상지위별로는 상용직이 43만5천명이 늘고 임시직은 3만1천명 줄어드는 등 고용의 질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도소매·건설업 취업자 증가 등 영향으로 남성 취업자 수는 4만9천명 늘며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여성 취업자는 26만명 늘었다.


PYH2023101109840005100_P2.jpg수출 경기
10월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 하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 청년층 고용률 8개월째 하락…20대 후반 고용률은 역대 최고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3.2%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작성 이후 9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한 69.6%였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9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청년층 고용률은 46.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 집계 이후 두 번째로 높지만 최근 8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취업 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은 72.5%로 같은 달 기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다.

실업자 수는 66만1천명으로 2002년 9월63만2천명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적었다.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한 2.3%였다. 같은 달 기준으로 1999년 6월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다.

청년층 실업률은 5.2%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저 수준이다.

9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7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명 줄었다.

이중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1만1천명 늘었다. 청년층 쉬었음은 1만4천명 줄면서 6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20대 후반이 전체 청년층 쉬었음의 감소세를 견인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기재부는 "중국인 단체 관광 재개 등 영향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계속 늘면서 고용률·실업률은 견조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유가 변동폭 확대, 고금리 장기화 등 대외 불확실성과 제조업 고용부진 지속 등 하방 요인은 상존한다"고 말했다.

rock@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고속도로서 택시 운행방해 후 내린 승객, 화물차에 치여 숨져
"AG 동메달이 결혼 선물"…김국영, 멀리뛰기 김규나와 백년가약
윌 스미스 아내 "7년째 별거중…시상식 폭행 당시 촌극인 줄"
유기견에도 마음 아끼지 않던 30대 청년, 5명 생명 살리고 떠나
어린이 190여명 강간·살해 콜롬비아 극악범 사망
정경심이 조범동 출국 지시 보도는 허위…대법서 판결 확정
건설업자 윤중천, 동료수감자 강제추행 혐의 징역 6개월
연예부 기자 출신 유튜버 김용호씨 부산서 숨진 채 발견
10대 아들 앞에서 번개탄 놓고 사진찍은 아버지 벌금형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64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20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