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올 것이 왔다"…젊은 명품족 싹 사라진 백화점 직격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결국 올 것이 왔다"…젊은 명품족 싹 사라진 백화점 직격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1회 작성일 23-05-10 17:39

본문

뉴스 기사
불황형 소비 확산…유통업계 실적 직격탄

젊은 명품족 사라진 백화점
신세계, 8분기 만에 영업익 줄어

인플레에 생활 소비도 위축
이마트 1분기 이익 14% 감소 전망
GS편의점·슈퍼도 실적 부진

올해 들어 본격화한 소비경기 부진이 유통업계 전반의 1분기 실적에 줄줄이 직격탄을 날린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계는 젊은 ‘명품족’이 몰려들면서 코로나19 창궐 후 꺾일 줄 몰랐던 백화점 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드러나자 ‘올 것이 왔다’는 분위기다. 슈퍼마켓, 편의점 등 서민 유통채널도 먹고 입는 데 쓰는 것조차 아끼는 ‘불황형 소비’가 굳어져 부진의 늪에 빠진 모습이다.

○부자들 지갑 닫자 백화점 울상

신세계는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5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했다고 10일 발표했다. 코로나19 이후 여덟 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오다 처음으로 감소했다.

럭셔리 브랜드 소비 활황으로 꾸준히 외형을 키워왔던 백화점사업부의 매출은 6209억원으로 6.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명품을 비롯한 상당수 고가 제품의 가격이 인상된 것을 감안하면 판매량이 1년 전 수준을 가까스로 유지했거나,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전날 실적을 발표한 현대백화점별도기준 1분기 영업이익 역시 9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줄었다.

유통업계에선 올해 들어 부자들마저 지갑을 닫아 명품 판매가 쪼그라든 게 백화점 1분기 실적에 고스란히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올해 1분기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의 명품 부문 매출 증가율은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작년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30% 넘는 증가율을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편의점·대형마트도 타격

편의점·슈퍼마켓 같은 생활 밀착형 채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1위 업체 BGF리테일은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70억원으로 전년378억원 대비 2.1% 감소했다. 편의점의 경우 소비시장의 주축으로 떠오른 1020세대가 많이 찾으면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적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흐름을 이어왔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대형마트는 증권업계에서 부정적인 추정치가 잇따르고 있다. SK증권은 이마트 할인점사업부의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920억원보다 14.1% 줄어든 79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했다.

대형마트·편의점 등은 불황형 소비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역발상 전략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겠다는 구상이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급성장했던 배달서비스 수요가 올해 급감할 것으로 예상하고 매장에서 직접 물건을 가져가는 ‘픽업서비스’를 강화한 GS리테일이 대표적 사례다. GS리테일의 기업형 슈퍼마켓SSM GS더프레시의 지난달 픽업 서비스 신규 고객은 전년 동기보다 168% 늘었다.
○“소비심리 위축 계속될 듯”

유통업계와 전문가들은 5월엔 사흘 연휴가 많아 2분기에 일시적으로 소비가 살아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연내에 소비심리가 급격하게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5월 들어서는 외출이 많아지면서 비교적 소비도 활발한 추세”라면서도 “다만 객단가는 줄어들고 있어 2분기 실적도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인플레이션 등으로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어 소비자들의 씀씀이도 쪼그라들고 있다”며 “스태그플레이션 경향이 나타나는 것도 악재”라고 말했다.

이미경/한경제 기자 capital@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52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70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