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후폭풍 밸류업 동력 약화 우려에 주가 하락…"소액주주 보호 등 대...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총선 후폭풍 밸류업 동력 약화 우려에 주가 하락…"소액주주 보호 등 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4-04-15 13:29

본문

뉴스 기사
총선 후폭풍 밸류업 동력 약화 우려에 주가 하락…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김영문 기자]야당의 총선 승리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여 최근 관련 일부 종목의 주가가 하락했다. 기존 밸류업 시행 기업에 법인세 감면 등 인센티브 도입에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증권가는 그간의 밸류업 프로그램의 정책 방향이 아닌 소액 투자자 보호 및 혜택 강화 측면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힐 것으로 예상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증권, 금융지주 종목들의 주가가 연일 하락세를 기록 중이다. 지난 9일 대비 12일 기준 삼성증권의 주가는 약 6%, 미래에셋증권은 약 5% 빠졌으며 대부분 3%가량하락했다.

지난 10일 총선이 기점이 됐다. 총선 결과 야당이 압승한 만큼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 동력이 약해질 확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올 1분기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하면서 관련 수혜가 기대되는 낮은 순자산비율PBR 종목들의 상승세가 이어졌다. 대표적인 저PBR 종목으로 꼽히는 금융주와 자동차주 등이 1분기 대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식시장은 밸류업 프로그램 관련 정부의 정책 방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와 함께 정부가 강력한 의지가 드러내면서 이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오르기 시작했는데, 구체적으로 기업들에 강제성을 부여하기보다는 밸류업에 참여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소식에 기대감이 후퇴해 코스피와 함께 주가가 하락했다.

이후 밸류업에 참여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로 법인세 감면을 해주거나 배당소득 분리 과세 등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하락 폭이 축소되거나 반등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이번 총선에서의 야당 승리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모멘텀 약화에는 증권가 역시 동의했다. 전통적으로 야당은 법인세 감면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온 만큼 밸류업 혜택으로 법인세 감면 혜택이 통과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함께 정부가 추진해 온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역시 야당의 반대에 부딪힐 확률이 높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 정부의 국정 운영에 있어서 이전처럼 야당의 입김이 셀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라며 "법 개정안이 필요한 사안을 놓고 과세를 주장하는 야당이 의석수에서 우위를 차지했다는 점은 투자자들로 하여금 과세 폐지 기대감을 후퇴시킬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라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방향성은 유지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기존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의 수혜가 예상되는 고소득자, 법인세 감면의 수혜를 받는 기업 중심의 세수 축소 방향이 소액 개인 투자자로 집중될 전망이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야당도 기본적으로 상법 개정과 물적 분할 금지 등 소액주주 권리를 강화하는 입법·규제를 옹호하고 있는데 큰 틀에서는 이 또한 여당의 밸류업 프로그램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라며 "소액주주의 증시 참여 확대가 사실상 밸류업 정책이라고 본다면, 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중기 방향성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 역시 "유권자 내 주식투자자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정책은 초당파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라며 "ISA 비과세 혜택 강화, 일반주주 보호 강화 등 소액주주 권리 향상 정책 등 야당도 찬성하는 것 역시 주식투자를 하는 유권자를 염두에 둔 것이다"라고 판단했다.

이웅찬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제는 밸류업 정책보다는 금투세 유예 여부가 더 많이 거론될 것이다"라며 "금투세 유예가 연장될 가능성은 낮고 반대급부로 IRP 계좌에 대한 수혜 확대 등 여러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영문 기자 kym117@hankooki.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86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35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