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찌를것 같던 뉴욕 초호화 주상복합…반값 굴욕 이유는?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하늘 찌를것 같던 뉴욕 초호화 주상복합…반값 굴욕 이유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7회 작성일 23-09-13 11:40

본문

뉴스 기사
하늘 찌를것 같던 뉴욕 초호화 주상복합…반값 굴욕 이유는?


미국 뉴욕 맨해튼 ‘억만장자의 길’로 불리는 57번가에 위치한 초고가 아파트의 가격이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432 파크 애비뉴에서 한 층 전체를 거주 공간으로 조성한 매물이 거래를 앞두고 있다. 이 매물은 현재 7000만달러약 930억원에 가격 협상이 진행 중이다.

월스트리트의 유명 헤지펀드 창업자가 소유한 이 아파트의 당초 호가는 1억3500만달러약 1800억원였다. 그러나 지난 2021년 매물로 등록된 이후 2년 동안 새 주인을 찾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가격 하락이 미국 초고가 부동산 시장의 특수성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의 일반 주택 시장은 공급이 부족해 매매가가 오르고 있지만, 초고가 주택 시장은 수요가 부족한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미국 초고가 부동산을 선호하던 외국의 갑부들이 강달러 현상으로 구매력이 약해진 점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와 함께 건물 자체의 문제점도 거래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432 파크 애비뉴는 425.5m 높이의 빌딩이다. 초고층 건물은 바람에 어느 정도 흔들리도록 설계되지만 432 파크 애비뉴는 막대처럼 가늘고 긴 외형 탓에 바람이 불면 다른 건물 대비 심한 굉음이 발생하고 내부 시설까지 위험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9년에는 강풍에 건물이 흔들리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 통로 안의 전선에 이상이 생겨 거주자들이 엘리베이터 안에 1시간 25분간 갇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또 지난 2018년에는 물을 고층까지 올려 보내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고압을 견디지 못한 파이프 연결관이 터져 거주지 일부가가 침수되고, 엘리베이터 운행이 중단되는 사고가 나기도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10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82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