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효진의 철두철미] 철강 한파에 멈춘 가동…현대제철, 인천 철근공장 첫 ...
페이지 정보

본문
중국 저가 공세·미국 관세 겹쳐…공급 과잉·수출 악화
이미 비상경영 돌입…희망퇴직·임원 급여 삭감 등 단행
이미 비상경영 돌입…희망퇴직·임원 급여 삭감 등 단행

현대제철은 다음달 한 달간 인천공장 내 철근 생산 전 라인을 셧다운하기로 했다. 인천공장은 연간 150만t의 철근을 생산하는 국내 최대 봉형강 제조 시설 중 하나다. 봉형강은 건설, 기계, 자동차 등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로 이번 조치는 현대제철 창사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국내 철강 수요는 최근 수십 년 내 최저 수준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철근 수요는 전년 대비 약 20% 감소한 798만t으로 이는 1998년 외환위기 당시 수치774만t와 맞먹는다. 여기에 미국의 철강 관세 시행까지 겹치며 수출 여건도 악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리 시간으로 지난 12일부터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현대제철은 일시 셧다운으로 단기 공급 과잉을 완화하는 한편 철근 재고가 감소할 때까지 감산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의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재고자산은 1568억8000만원 감소해 전년6183억2000만원 감소 대비 감소 폭이 크게 줄었다. 재고소진이 둔화되면서 현금 흐름도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현대제철은 매출이 전년 대비 10.4% 줄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60.6%, 72.2% 감소하며 실적 타격을 입었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은 이미 인건비 절감을 위해 포항공장 기술직 희망퇴직을 받고 있으며 임원 급여를 20% 삭감하는 등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저가 공세와 국내 건설 경기 위축이 겹치면서 철강업계 전반이 극심한 구조조정 압박에 놓여 있다”며 “현대제철의 이번 감산은 고육지책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임효진 기자 ihj1217@economidaily.com
★관련기사
[임효진의 철두철미] 한화에어로, 3.6조원 유상증자 단행…글로벌 방산·조선 시장 공략
[임효진의 철두철미]철강 수출 길 막히나… 韓 철강사, 美 시장 대응책 고심
[임효진의 철두철미]티웨이 품은 대명소노…에어프레미아 인수 가능성 급부상
★추천기사
[종합] 고려아연 주총, 영풍의 이사회 장악 실패…경영권 분쟁 일단락
대통령실, 국가 AI 안보 협의회 출범…AI 사이버 위협 선제 대응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故조석래 효성 회장 1주기 추모식…조현준 "빈 자리 사무쳐" 25.03.29
- 다음글결혼정보회사 가인투데이, 봄 데이트 장소 추천 3선 25.03.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