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이 뭐죠?"…고교생 금융이해력 낙제 수준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신용이 뭐죠?"…고교생 금융이해력 낙제 수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3-29 20:49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lt;앵커gt;

문맹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지만, 금융문맹은 생존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금융 교육이 그래서 중요할 텐데 아직은 많이 부족해보입니다.

정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lt;기자gt;

경기도 고양시의 한 중학교입니다.

자유학기제인 1학년을 대상으로 금융 수업이 한창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왜 과자 값이 오르는지 배우고

[기름값이 올라요. 그렇죠. 외국에서 수입하는데.]

돈을 빌리는데 신용이 중요한 이유를 깨닫습니다.

[이해인/원당중 1학년 : 오늘 처음 알았어요. 애초에 신용 점수를 오늘 처음 알아가지고.]

당장 필요한 용돈 관리법은 금융감독원이 개발한 장보기 게임을 통해 배웁니다.

[좀 싼 거 사야 되는 거 아니야? 맞아요. 지금 7,200원밖에 없어요.]

미래 자산의 규모를 좌우하는 만큼, 금융 개념은 어릴 때 정립하는 게 중요합니다.

하지만 중학교에서는 사회 과목 일부 단원에 경제가 있지만 금융 관련 내용은 비중이 적습니다.

고등학교에서도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이뤄지다 보니, 경제를 수능 선택과목으로 고르는 비중은 채 2%가 되지 않습니다.

그 결과, 국내 고등학생의 금융이해력은 100점 만점에 46.8점, 낙제 수준입니다.

가르칠 기회가 적어 교사들도 어떤 자료로 어떻게 금융을 가르쳐야 할지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김지연/원당중 미래 교육 연구부장 : 온라인 연수나 관련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조금 많이 연습은 하긴 하지만, 그래도 아직은 미흡한 부분이 많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문맹을 없애기 위해 해외에서는 정규 교육 과정에 금융 수업을 늘리고 있습니다.

[김자봉/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누구나 퇴직을 하고 나면 근로소득이 0이거든요. 금융소득이 나오게 만들어 놔야 되는 거고 그렇게 하려면 청소년기 때 배워야 된다는 거예요.]

학생들이 쉽고 다양한 방식으로 금융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고, 교사들의 역량을 강화할 연수 프로그램도 확대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정성훈, VJ : 김 건

정준호 기자 junhoj@sbs.co.kr

인/기/기/사

◆ "손주만 태워주세요!" 대피하던 차량 펑…결국 물속 풍덩

◆ "살려주세요!" 맨손으로 땅 팠지만…생지옥 된 길거리

◆ 주차장서 칼 들고 덮친 흰색 헬멧 남성…3분간 찔러 살해

◆ 강의실에 학생 단 1명뿐…"뉴스에서만 보던 일" 분통

◆ 눈앞 믿을 수 없는 광경…"통째로 사라져" 무너진 억장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031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32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