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코스피 영업익 60% 급증…56兆 번 반도체 투톱이 주도
페이지 정보

본문
상장사 614곳, 합계 196조원
전기·전자, 운송업종 등 선전
코스닥 10곳 중 4곳은 적자
전기·전자, 운송업종 등 선전
코스닥 10곳 중 4곳은 적자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영업이익 총합이 전년 대비 60% 급증했다. 반도체 업종이 2023년 불황기를 통과한 뒤 영업이익을 크게 늘린 덕분이다.
2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상장기업 614곳금융업 등 제외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2918조371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5.43% 증가했다. 영업이익 합계는 196조8161억원으로 61.68% 급증했다. 순이익은 142조8091억원으로 81.59%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2.34%포인트 높아진 6.74%를 기록했다.
2023년 반도체 업황이 꺾이며 영업이익이 급감했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영업이익이 크게 반등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전기·전자14.08% 업종의 영업이익 증가율은 20개 부문 중 가장 높았다.
작년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32조7260억원으로 전년 대비 498.34% 급증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특수를 누린 SK하이닉스도 흑자 전환에 성공해 23조467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HMM의 영업이익3조5128억원이 전년 대비 500.72% 늘면서 운송·창고 업종의 영업이익도 12.86% 불어났다. 614개사 외에 별도로 분석한 금융업 43곳의 연결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14.29%, 12.51% 증가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증권51.10%, 금융지주13.10%, 보험10.53% 순으로 높았다.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1203곳의 연결 기준 매출은 273조3467억원으로 4.48%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9조6403억원과 순이익3조4817억원은 전년 대비 각각 2.71%, 13.45% 감소했다. 코스닥 상장사 중 692곳57.52%이 순이익 흑자를 실현했고, 511곳42.48%은 적자를 냈다.
고금리 등 영향으로 제약 업종 실적이 주저앉았다. 제약 업종의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 대비 97.15% 급감했다.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위기에 몰린 화학 업종 순이익도 전년 대비 88.86% 감소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2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상장기업 614곳금융업 등 제외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2918조371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5.43% 증가했다. 영업이익 합계는 196조8161억원으로 61.68% 급증했다. 순이익은 142조8091억원으로 81.59%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2.34%포인트 높아진 6.74%를 기록했다.
2023년 반도체 업황이 꺾이며 영업이익이 급감했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영업이익이 크게 반등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전기·전자14.08% 업종의 영업이익 증가율은 20개 부문 중 가장 높았다.
작년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32조7260억원으로 전년 대비 498.34% 급증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특수를 누린 SK하이닉스도 흑자 전환에 성공해 23조467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HMM의 영업이익3조5128억원이 전년 대비 500.72% 늘면서 운송·창고 업종의 영업이익도 12.86% 불어났다. 614개사 외에 별도로 분석한 금융업 43곳의 연결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14.29%, 12.51% 증가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증권51.10%, 금융지주13.10%, 보험10.53% 순으로 높았다.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1203곳의 연결 기준 매출은 273조3467억원으로 4.48%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9조6403억원과 순이익3조4817억원은 전년 대비 각각 2.71%, 13.45% 감소했다. 코스닥 상장사 중 692곳57.52%이 순이익 흑자를 실현했고, 511곳42.48%은 적자를 냈다.
고금리 등 영향으로 제약 업종 실적이 주저앉았다. 제약 업종의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 대비 97.15% 급감했다.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위기에 몰린 화학 업종 순이익도 전년 대비 88.86% 감소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사의 표명한 이복현 금감원장…F4 회의 운영에도 영향 줄 듯 25.04.02
- 다음글작년 실적 눈앞 삼성물산·4조원 바라보는 GS건설…1분기 정비사업 실적 ... 25.04.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