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국내 최초·1등 제품 기지"…오뚜기 대풍공장 가보니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르포]"국내 최초·1등 제품 기지"…오뚜기 대풍공장 가보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4회 작성일 23-11-09 00:02

본문

뉴스 기사
카레·케?·마요네스 등 주력 제품 생산
철저한 품질관리·자동화 설비로 생산효율 극대화

"머리 쓰고 땀 흘리자."


충북 음성군에 있는 오뚜기 대풍공장에 들어서면 창업주인 고故 함태호 명예회장의 동상 아래 이 같은 글귀가 새겨져 있다. "자신이 고찰한 방법으로 일의 능률을 높이고,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자"는 뜻을 담은 오뚜기인의 생활신조다. 부지 면적 10만4853㎡약 3만2000평, 건물면적 8만2850㎡약 2만5106평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의 제조 시설들이 함 명예회장의 동상과 마주하고 있다. 2001년 8월 문을 연 이곳은 오뚜기 주력 제품의 생산기지다. 오뚜기라는 기업을 세상에 알린 카레를 비롯해 케#xfffd;R과 마요네스 3분 요리 식초 등 이 회사가 국내 최초로 선보인 제품과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품목들을 이곳에서 제조한다.


[르포]quot;국내 최초·1등 제품 기지quot;…오뚜기 대풍공장 가보니

오뚜기 대풍공장에서 생산라인을 따라 즉석카레 제품이 이동하고 있다.[사진제공=오뚜기]

스테디셀러의 집결지

오뚜기가 8일 미디어에 처음으로 공개한 대풍공장에서는 18개 유형의 452개 품목을 생산한다. 연간 제조하는 제품의 총생산 중량은 약 25만t이다. 금액으로는 8641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3조1833억원을 기록한 오뚜기 제품 전체 매출액의 27% 이상을 책임지는 회사 내 최대 생산시설이다. 사무동을 지나 자동물류센터로 향하는 통로에 들어서자 이날 구내식당 메뉴로 제공한 오뚜기 카레 향이 실내에 가득 퍼졌다.


오뚜기는 1969년 5월 국내 최초로 분말카레를 선보였다. 이후 50년 넘게 국내 즉석 카레 시장을 이끌면서 지난달 기준 분말카레 시장점유율 83%로 1위를 지키고 있다. 국내 가정간편식HMR 제품의 원조 격으로 불리는 레토르트 제품 3분 요리도 이곳에서 대량으로 생산한다. 카레와 짜장, 덮밥 소스, 곰탕 등 62개 품목에 달하는 레토르트 제품도 시장점유율 89%로 압도적인 선두다. 김혁 오뚜기 대풍공장 공장장상무은 "국내 소비자들의 카레 수요를 늘리고, 전체 카레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뚜기가 1971년과 1972년 각각 국내에 첫선을 보인 토마토 케#xfffd;R과 마요네스도 대풍공장의 주력 생산 품목이다. 이들 제품 모두 50년 넘게 소비자의 사랑을 받으면서 지난달 기준 시장점유율 91%와 79%로 1위를 달린다. 이 밖에 식초와 즉석밥 시장에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식초는 국내 조미 식초 시장에서 점유율 64%로 1위에 올랐고, 후발 주자로 나선 즉석밥은 2004년 출시 이후 누적 생산량 20억개를 돌파했다. 컵밥류도 올해 9월 기준 점유율 37.8%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상훈 오뚜기 대풍공장 품질관리부장은 "즉석밥과 컵밥 등의 제품은 수요가 몰려 생산라인을 24시간 가동하며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ae_1699455724100_377570_1.jpg

오뚜기 대풍공장 직원이 마요네스 생산 과정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오뚜기]

제조·물류 자동화…깐깐한 위생·품질 관리

오뚜기 대풍공장의 종사자 수는 307명으로 시설 규모와 비교해 인원이 많은 수준은 아니다. 대신 스마트팩토리를 지향하며 자동화 시스템으로 효율성을 높였다. 제조와 검수, 포장, 물류에 이르기까지 첨단 설비를 갖췄다. 가령 100g짜리 제품을 만들 때 과거에는 작업자가 중량을 조절해 오차 범위가 들쑥날쑥했으나 지금은 자동으로 최적의 무게를 조절해 재료가 더 들어가거나 덜 담기는 일을 방지한다. 김 공장장은 "수율완성된 양품의 비율이 높아져 회사는 물론 소비자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출하 기준에 맞춰 박스 단위로 포장된 제품들은 레일을 따라 자동물류센터에 보관한다. 아파트 12층 높이의 자동물류센터는 포장에 새긴 바코드를 인식해 품목별로 제품군을 분류하고, 정해진 셀에 물건을 보관한 뒤 날짜에 맞춰 출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뚜기가 생산라인 운영에서 가장 공들이는 부분은 위생관리다. 식품을 다루는 업의 특성을 고려해 제조 라인에 클린룸을 도입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클린룸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m인 정육면체 안에 먼지 수가 10만개 이하의 상태로 관리되는 공간을 뜻한다. 정 부장은 "반도체 공장이나 병원 수술실과 비슷한 수준으로 엄격한 위생환경을 유지하며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뚜기는 국내 최초이자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이들 제품을 발판으로 해외무대에서 경쟁력을 키우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식품업계에서 8곳에 불과한 매출 3조 클럽에 가입하는 성과를 거뒀으나 여전히 해외 매출 비중은 10% 안팎에 머물러서다. 이는 라면을 주력으로 해외 매출 비중을 높인 경쟁사들과 달리 내수를 중심으로 가공식품이나 소스 등 다른 사업 부문까지 고르게 추진해온 결과다. 이명원 오뚜기 마케팅팀장은 "경쟁사들보다 우위에 있는 시장점유율 1위 제품이나 다른 유형의 품목을 내세워 해외시장 규모를 키우기 위한 차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관련기사]
3만원대 5G요금제 나온다…5G폰으로 LTE요금제도 가능
초고령사회 임박한 서울시, 강원도에 골드시티 짓는다
"7급 특진 약속했잖아" 파주 공무원, 시장 상대로 소송
겨울 70대 치매 엄마 알몸으로 내쫓은 딸…법원의 판단은
혹시몰라서…버리려다 경매사에 의뢰한 그림 334억짜리였다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기업의 모든 이슈를 한 눈에! 아시아경제CORE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89
어제
930
최대
2,563
전체
428,10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