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상용차로 한국 뒤쫓는 중국…"승용차 위주 정책 바꿔야"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수소 상용차로 한국 뒤쫓는 중국…"승용차 위주 정책 바꿔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3-10-19 00:04

본문

뉴스 기사



질주하는 중국 자동차 ③ 수소차
전기차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이 될 또 다른 축은 ‘수소차’다. 현대차 넥쏘를 앞세운 한국은 ‘수소차 강국’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엔 중국 업체들이 강하게 밀고 들어오고 있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18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현대차넥쏘·일렉시티는 1위를 지켰지만 시장 점유율은 38.6%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4%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중국 킹롱3위과 위통자동차4위는 각각 2.8→9.2%, 0.7→4.1%로 급성장했다. 중국 내수 시장 판매량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상반기 판매 대수가 지난해와 견줘 2000대가량 줄어든 국내 상황과 대비된다.

사실 중국 내부에서는 수소차 ‘과잉 생산’ 우려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방정부들이 수소차 열풍에 뛰어들고 있어서 중앙정부의 목표치를 뛰어넘었다”며 “강력한 성장세를 보이겠지만 글로벌 수소 시장이 역성장하고 있어 과잉 생산의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중국의 이런 움직임에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촉각을 기울이는 건, 갈수록 커지는 전기차 시장과 달리 수소차는 맥을 못 추고 있는데도 중국만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수소차 시장은 올 상반기 11.6% 역성장했다. 수소 생산 기술 개발이 더뎌 연료 가격이 비싼 탓이 크다. 수소차의 ‘심장’이라 불리며 차량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연료전지 역시 비싸다. 또 수소는 안전규정이 까다로워, 충전소 등 인프라 건설이 전기차에 비해 어렵고 비싸다. 그런데도 각국이 수소차에 힘을 쏟는 것은 발전·모빌리티 등 ‘수소 산업’이 미래의 주요 먹거리라서다. 업계에서 내다보는 2050년 수소 산업생산·활용 규모는 약 2조5000억 달러약 3371조원, 신한투자증권이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이런 상황 속에서도 중국에서 유독 수소차가 잘 팔리는 데는 강력한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한 중앙정부의 전면적인 지원이 있다. 중국 정부는 2025년 최소 5만 대, 2035년까지 130만 대의 수소차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그린 수소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수소를 연간 10만~20만t 생산하겠다는 목표도 설정했다. 충전소 인프라 구축도 서둘러 현재 전 세계 수소차 충전소의 3분의 1이 중국에 있다. 트럭 같은 상용차 중심 정책 전략도 제대로 먹혔다. 수소차는 충전시간이 짧고 주행시간이 길어 대형·상용차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른 자동차 강국들은 발걸음을 서두르고 있다. 미국은 2030년까지 수소차를 120만 대 보급하고 충전소를 4300곳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내놓고 연간 투자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일본 또한 2025년까지 수소차 20만 대, 2030년까지 80만 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에 따라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그간 승용차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해온 국내에서도 최근 들어 상용차 중심으로 이를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지난해 11월 수소산업 정책을 수정하며 ‘버스·트럭 구매 보조금 확대’ 등 상용차에 더욱 힘을 싣는 방안들을 내놨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중국을 분명히 경계해야 하지만, 다행히 기술적으로는 연료전지 등에서 우리가 앞서가는 상황”이라며 “지금이라도 수소차는 버스·트럭·건설기계 등 상용차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임주리 기자 ohmaju@joongang.co.kr

[J-Hot]

朴 "이정희 미워 통진당 해체? 그럼 체제전복 놔두냐"

박수홍 "큰형 탓 증언한 동생…부모가 보지 말자 해"

AI 대부의 경고 "AI 거짓말, 인류는 알아챌수 없다"

"지능 낮지만 순종적" 3500만원에 女매매…中 발칵

당첨된 로또 들고가니 "이미 돈 받아갔다" 황당 사연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임주리 ohmaju@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14
어제
812
최대
2,563
전체
423,55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