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기초연금 재정지출 과도…노인 소득 하위 70%에서 중위소득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승희왼쪽, 김도헌 연구위원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DI FOCUS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인 소득 ‘하위 70%’에 주는 기초연금의 지급 기준이 유지되면서 재정이 과도하게 지출되고 있다는 국책연구원 분석이 나왔다. 지급 기준을 ‘중위소득’으로 개편해 비용을 절감하면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을 두텁게 지원할 수 있을 것이란 제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기초연금 선정 방식 개편 방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현행 기초연금은 전체 노인 인구 중 소득인정액 하위 70%에 지급된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자산소득·사업소득 등 소득평가액과 자산을 소득화한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것이다.
KDI는 현행 기준을 유지하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올해 736만명에서 2050년 1324만명으로 늘어나고, 기초연금 지출액이 2014년 6조8000억원에서 2023년 22조6000억원, 올해 27조원, 2050년 46조원 등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초연금 지출 규모는 현재 정부가 시행 중인 복지 사업 중 가장 크다.

KDI는 고령층의 소득과 자산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한국 전체 가구소득의 중간값인 기준중위소득2인 가구 기준 대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은 2015년 56%에서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94%까지 올랐다. 추세대로라면 2030년 10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인구의 소득보다 노인 인구의 소득이 더 빠르게 늘어나면서 중위소득에 가까운 노인까지 연금을 받게 되는 것이다. KDI는 “노인의 경제상황이 나아지더라도 선정기준액이 같이 상승해 소득과 무관하게 70%의 노인이 기초연금의 수혜를 받게 된다”고 말했다.
KDI는 현 ‘노인 중 소득인정액 하위 70%’인 선정기준액을 ‘전체 인구 기준중위소득 대비 비율’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첫째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자로 일괄 조정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자에서 시작해 매년 일정한 비율로 감소시켜 2070년 기준중위소득 50% 이하까지 낮추는 방식이다.
KDI는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 2070년까지 누적 재정지출이 1905조원에 달한다고 봤다. 반면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 100%로 고정할 경우 누적 재정지출은 약 1710조원으로, 현행 대비 약 195조원약 10% 절감될 것으로 전망했다.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 100%에서 50%로 줄이면 누적 재정지출은 1465조원으로, 현행 대비 440조원약 23% 절감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재정지출 감소를 통해 월 기준연금액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기준중위소득 100% 고정일 경우 현행 39만9000원에서 2026년엔 44만1000원으로 인상할 수 있다.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 100%에서 50%로 줄이면 2026년 51만1000원까지 높일 수 있다. 보고서는 “선정기준액을 기준중위소득에 연동할 경우 저소득층 노인의 빈곤 완화에 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비상사탭니다ㅠ, 최악”···한동훈이 계엄 직전 용산에서 받은 문자
· “이혼하자” 했다고…양주병 휘둘러 ‘부동산 1타 강사’ 남편 숨지게한 50대
· “학원 준비물 챙긴다며 갔는데…” 예비 중학생, 아파트서 추락 사망
· 김건희 여사 ‘숙명여대 석사 논문 표절’ 최종 확정···징계 논의 절차 남아
· 수험생 전번 알아내 “맘에 든다” 연락한 수능감독관, 대법서 판결 뒤집혀···왜?
· 국회 내란 청문회 ‘김건희 육성’ 10초 재생 놓고 여당 항의 소동
· 대형마트 도넘은 악덕상술…“쓰레기만 골라 온라인 배송하나”
· [속보] 축구장 5900개 규모 그린벨트 풀린다···부산·울산·창원 등 15곳 지역전략사업 선정
· “무기 집에 하나씩 다 있지 않냐” 극우 선 넘을까···윤석열 최종 변론에 달렸다
· [단독]‘서부지법 난입’ 무전에서 드러난 ‘우왕좌왕’ 경찰···“부르면 답 해야지!”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도로공사 "교량 붕괴 사고 사과…수습, 재발방지 최선" 25.02.25
- 다음글로봇배달 시대 개막, 달려라 딜리! 25.02.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