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 日은 펫보험 시장만 1조···규제 풀면 더 큰 시장 보인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이웃 日은 펫보험 시장만 1조···규제 풀면 더 큰 시장 보인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3-06-28 05:52

본문

뉴스 기사
[기획-반려동물 800만시대, 무용지물 펫보험]②

[편집자주] 국내 반려동물 규모는 800만마리에 이른다. 빠르게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의료비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펫보험 가입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펫보험이 있어도 활용도가 높지 않아서다. 펫보험 활성화를 가로막는 걸림돌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봤다.

본문이미지
이제 시작단계인 우리와 달리 이웃나라 일본의 펫보험 시장은 1조원에 육박한다. 보험사가 펫 헬스케어나 푸드 사업은 물론이고 동물병원까지 운영할 수 있다. 국내 펫보험 시장이 일본처럼 커지기 위해서는 진료기록 발급 의무와 함께 금융사 자회사 출자범위 및 부수업무 개선 등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보험업계에 따르며, 국내 펫보험 시장은 지난해 기준 30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약 1조원에 육박하는 이웃 일본의 펫보험 시장과 크게 비교된다.

일본의 펫보험 시장이 1조원까지 클 수 있었던건 보험사들이 다양한 관련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어서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일본 보험사는 기본적인 보험상품 판매 뿐만 아니라 △펫 헬스케어 △펫 푸드 △펫 부동산 △펫 재생의료 △동물병원 운영 △브리딩훈련 △ESG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19.2%씩 성장해 왔다. 그럼에도 일본의 펫보험 가입율은 12~16%로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반면 국내 펫보험 시장은 강력한 규제가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보험업권은 전통적인 금융규제 체계에 갖혀 신사업 진출에 엄격한 제한을 받는다. 보험 상품 외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서비스 출시가 불가능하다. 이에 성장동력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험사들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보험사들 뿐만 아니라 은행이나 카드사 등 전통 금융업권도 새로운 금융 플랫폼으로 영향력을 키워가는 빅테크IT대기업 등과의 경쟁을 위해 조속한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보험업권 한 관계자는 "보험업 연관성을 기준으로 하는 현행 부수업무 판단기준의 범위를 더 확대해 줬으면 한다"며 "반려동물과 관련한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비금융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면 다양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조현아, 인터뷰하다 잠들어 태도 논란…알고보니 이 장애였다
"만삭 때 전남편과 사귄 女…네 배는 알아서 하라더라"
"30대 가장, 극단적 선택…부추긴 악마? AI 챗봇이었다" 충격
부부애 과시 송중기·송혜교 돌연 이혼…잘잘못 언급
강인, 정준영 단톡방 사건 심경고백…"연루 의혹 힘들었다"
황희찬 "자고 일어났더니 이게 무슨 일"…황의조 이어 SNS 피해
황의조 전여친 효민 "그와 결혼할 바엔 죽을래"…과거 글 재조명
손지창♥오연수 "26년 차, 잠만 자는 사이…옛날 미모 없어"
"영주에 표범 나타났다" 악어 이은 신고…발자국 정체 알고보니
이승연, 호르몬 이상 고백…"스트레스 탓에 몸이 제어 안 돼"
박명수, 임창정에 노래 뺏겼다?…"3일 답장 안 했더니 넘어가"
코 찌르는 악취…"위층서 베란다 밖으로 소변 봐" 사진 봤더니
손태영 훌쩍 큰 아들, 뒷모습은 ♥권상우 똑같네…누리꾼 깜짝
"생수가 4500원, 식사도 망설여"…전 세계서 물가 가장 비싼 도시
[단독]이다해, 빌딩 팔아 200억 차익…"논현동 부동산만 3곳 보유"

김세관 기자 sone@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43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85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